[휴대폰 시장이 요동친다](하)산업 경쟁력이 우선이다

 이동전화서비스업계의 휴대폰 제조사업 확대는 국내 통신 산업의 큰 변화를 예고한다.

 세계에서 유례가 없는데다, 불공정거래의 소지도 없지 않다. 현명하게 풀어내지 못하면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먼저 휴대폰업계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한국 휴대폰의 경쟁력은 내수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나온다. 휴대폰은 이미 한국의 전략 산업이다.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이동전화서비스업체들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경우, 국내 휴대폰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양날의 칼이라는 주장인 셈이다. 모 휴대폰업체 마케팅 임원은 “서비스업체들이 휴대폰 자회사를 본격적으로 육성하게 되면 제조업체가 국내 시장에 발붙이기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감을 표명하면서도 “하지만 각종 콘텐츠 및 서비스 테스트를 통한 경쟁력 있는 휴대폰을 만들 경우 노키아와 달리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도 있다”고 인정했다.

 하지만 기존 휴대폰 제조사들은 내수에 국한된 이동전화서비스업체의 명분을 살리려다, 수출 주력의 휴대폰 산업에 이상이 올 수 있음을 경고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나아가 휴대폰업계는 전기통신사업을 개정해서라도 이동전화서비스업계의 제조업 진출을 제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아예 국내 통신산업을 재편하는 계기로 삼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LG전자와 LG텔레콤이 같은 그룹내에서 이미 서비스와 제조업을 겸업하고 있는 상황에서, SK텔레콤과 KTF에 족쇄를 채우기 힘들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빅딜을 하나의 해법으로 제시한다. 가령 이동전화서비스의 제조업 진출을 막되, 후발 이동통신사들간 합병을 유도하고 피합병 대상 회사의 관계사로 휴대폰사업 이관을 추진하는 방안이다. 하지만 현실성 있는 최적의 제안은 아니다.

 노골적인 불만도 나온다. 휴대폰업체 관계자는 “이동전화서비스업체들이 신규 서비스 투자는 꺼리면서, 휴대폰 제조업에 막대한 돈을 쏟아 붓고 있다”며 “이들은 휴대폰 진출 앞서 계획대로 WCDMA에 투자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동전화서비스업계는 서비스와 휴대폰의 발전이 궤를 함께 하는 만큼 서비스의 제조업 진출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라고 주장한다. 휴대폰업체들이 서비스의 논리보다 제조사의 논리을 앞세워 서비스의 발전을 더디게 한다는 주장도 있다.

 정보통신부는 이제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정통부는 얼마든지 전기통신사업법을 내세울 수 있다.고려의 우선 순위는 산업의 경쟁력이다. 이동전화서비스의 제조업 진출 및 확대와 이에 맞서는 논리를 놓고 어느 쪽이 산업 발전에 유리한지 진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는 한국 산업의 성장 동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김익종기자@전자신문, ij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