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장품처럼 소장돼 일반인들과 소통하지 못했던 역사자료들이 디지털을 만나 열린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
30일 교육인적자원부는 앞으로 5년간 총 27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대학에 소장돼 있는 역사자료들을 디지털화하고 전자 유통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역사학자 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인터넷을 통해 역사자료가 어느 곳에 있는 지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또 읽기 어려운 역사자료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뀐다.
◇숨쉬지 못한 역사자료=교육부에 따르면 우리나라 고문헌의 75%, 약 150만권을 대학이 소장하고 있을 만큼 대학은 고문헌의 보고다. 그러나 예산 및 인력 부족으로 연구자나 일반인들이 고문헌을 접하기란 매우 어려웠다. 책의 저자, 목차, 내용 등에 대해 개략적인 설명(해제)이 된 사례도 극히 적었다. 심지어 서울대 도서관의 경우 경성제국대학 시절부터 31만권이라는 방대한 고문헌을 소장하고 있지만 해제된 책은 800여권에 불과하며 오히려 일본 학계가 자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매년 서울대에 조사단을 파견, 도서목록과 해제본 출판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00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 서울대 규장각 등 4개 기관이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구축사업’을 벌여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 국보급 자료와 귀중본 위주로 디지털화가 추진됐으나 현재 전체 고문헌의 총량 및 소장처를 알 수 있는 종합목록조차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다. 또 35개 대학 도서관이 소장한 고문헌 149만 4000종 중 디지털화된 목록은 112만 9000종, 원문은 6만 8000천종으로 부끄러운 상황이다.
◇어떻게 바뀌나=교육부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유용한 역사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전자적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대학들로 하여금 고문헌의 서지정보를 디지털화 하는데 올해 4억원등, 2008년까지 60억여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작성된 대학들의 서지정보는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에 통합돼 인터넷을 통해 일반에게도 서비스될 예정이다. 또 2008년까지 213억여원을 투입, 고문헌 149만 4000종 중 3%인 4만 4820종을 선별해 원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해제본을 만들고 정자로 읽기 쉽게 정서할 계획이다. 아직 대학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와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는 표준포맷 개발이 내년 중으로 예정돼 있어 국내 역사자료를 이용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역사자료의 디지털화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나섰다는데 의의가 있다. 선진국들은 이미 지식정보의 창출을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역사자료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 늦었지만 교육부의 이번 사업이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윤건일기자@전자신문, beny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