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신문에서 국내 굴지의 완성차업체가 하이브리드자동차 양산체제를 준비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했다. 전세계 선진 완성차업계가 사활을 걸고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개발에 나선 상황에서 뒤늦게나마 국내업체의 추격이 본격화됐다는 점에서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이라크 사태 이후 국내 증시 등 경제계 전반을 뒤흔드는 ‘고유가’에 일반 서민은 당혹스럽기만 하다. 너도 나도 ‘차 가지고 못 다니겠다’고 아우성이다. 예견돼 왔지만 지금 같은 에너지 위기에서는 가솔린만 먹는 자동차는 그리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선진국 완성차업체들이 하이브리드차량 개발에 적극적인 것도 이 때문이다. 이미 도요타자동차의 경우 양산화를 통해 1세대에 이어 2세대 차량이 미국 땅을 싱싱 달리고 있다.
가솔린과 전기를 동시에 연료원으로 하는 하이브리드차는 앞으로 대세로 자리잡을 것이 분명하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완전히 전기에 의해 굴러가는 차가 21세기 주류로 등장할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차세대 동력원을 이용한 자동차 개발이 한창인 이때 정부의 역할론에 대해 지적하고자 한다. 우리 정부는 이미 ‘차세대 성장동력’의 하나로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개발(지능형 자동차 포함)을 선정해놓은 상태다. 구체적으로 지원금을 정해 산관학 협동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자동차 수십대 값에 비교될 정도로 미미하다. 미국·유럽·일본 등의 정부가 수조원 예산을 쏟아부어 개발을 지원하는 것과는 비교할 수도 없다.
얼마 전에는 보다 못한 한국자동차협회가 정부에 보다 많은 지원을 해줄 것을 정식으로 제언했다고 한다. 완성차업체가 차를 만들지만 그 차를 타는 사람은 국민이다. 개발 지원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이유다. 이러다가는 정말 외국 기술을 사다 자국민에게는 비싸게 팔고 해외에는 헐값에 파는 80년대 자동차 세일즈가 되살아날 것이라는 우려가 든다.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인 우리가 성큼 다가온 차세대 차 개발 경쟁에서 뒤떨어지는 현실이 안타깝다. 일개 회사의 개발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의 체계적이고 전폭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자동차가 수만개의 부품을 통해 만들어지는 만큼 완성차업체와 부품업체 간의 관계는 거미줄처럼 얽힌다. 개발 지원과 더불어 차 부품업체들이 보조를 맞출 수 있는 부품업체 육성책도 시급한 과제다. 현재의 자동차 부품의 절반 이상이 바뀔지도 모르는 차세대 자동차 개발은 업계 혼자서 떠안기에는 벅차고 그렇다고 국민이 무조건 사줄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김성곤·경기도 용인시 마북면 김성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