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 웹스토리지 등 인터넷을 통한 파일 공유 서비스가 최근 경찰에 의해 음란물 등의 불법 파일 유통 경로로 지목 당하면서 관련 업계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경찰과 저작권 단체들의 주요 감시 대상에 오르고 이에 따른 이용자들의 이탈 현상 등이 예상되면서 미래에 대한 전망이 갈수록 불투명해지기 때문이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파일 공유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사업 변경을 고려 중인 업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일 공유 서비스 업계 10위권인 F사의 경우 갑작스레 서비스 중단을 선언했다. 이 회사는 공지를 통해 “당사의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서비스를 중지하게 돼 회원들께 사과”한다며 파일 공유 서비스업을 철수했다. ‘부득이한 사정’이 무엇인 지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관련 업계는 이미 예상됐다는 분위기다. 제살깎기식 가격 경쟁에다 수사 대상으로 지목되는 환경에서 더 이상 수익 모델을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또 파일 공유 서비스 업계 상위권 업체인 I사도 내년 중으로 사업 전환을 위해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져 미래에 대한 불안감은 확산되는 모습이다.
한 관련업체 대표는 “이유야 어찌됐건 간에 경찰의 음란물 단속 등으로 인해 파일 공유 서비스에 대한 주변 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 때문에 관련 업체들이 사업 전환이나 중단을 심각히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파일 공유 서비스의 성공 여부는 얼마나 많은 네티즌들이 얼마나 자주 파일을 서로 공유하느냐에 달려 있다. 때문에 용량이 큰 동영상 파일이나 호기심을 자극하는 음란물, 영화, 음악 등 즉 법에 위반될 소지가 있는 파일들이 주요 공유 대상이고 그만큼 사업에도 위험이 따른다. 이런 와중에 경찰의 수사 등으로 사회 전반에는 불법 파일의 유통 경로라는 꼬리표가 붙고 있어 리스크는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업계에서는 “파일공유 서비스가 디지털 콘텐츠의 새로운 유통 경로로 활용할 수 있는 점이 있는데 부작용만 강조하면 안된다”며 “건설적인 대안 찾기에 노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복제를 두려워하는 저작권 단체 등과의 사고의 차이를 해결하지 않는 이상 새로운 시도 조차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윤건일기자@전자신문, ben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