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산업의 큰 몫 담당하는 휴대폰 산업의 저변이 흔들리고 있다.이미 상당수의 중소업체들이 도산하거나 법정관리 절차를 밟고 있고 유망중견업체들은 M&A설에 시달리고 있다.이처럼 우리 휴대폰 산업 중흥의 한축을 맡아온 중견·중소휴업체들이 무너질 경우 향후 관련 산업의 경쟁력 저하가 불을 보듯 뻔하다는 게 지배적인 시각이다.이에 국내 중견·중소휴대폰 업계가 처한 위기의 실태를 파악, 5회에 걸쳐 대안을 중점적으로 모색해본다.
중견·중소휴대폰 업계가 생사의 기로에 섰다.
휴대폰산업이 전세계적으로 날로 확대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국내 중견·중소 휴대폰업체의 매출은 감소일로다. 국내 150∼200여개의 휴대폰업체중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대기업군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견·중소업체들이 적자의 늪에서 허덕이고 있다. 앞날을 장담할 수 없는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이미 모다텔·스탠더드텔레콤이 부도를 냈고 인터큐브는 청산절차를 밟고 있다. 세원텔레콤은 현재 법정관리중이고 여타 중견·중소기업들도 상황이 좋지 않다. 이대로 가다간 제2, 3의 세원텔레콤이 조만간 등장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 섞인 말들이 새어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우량 중견기업으로 꼽히는 벨웨이브까지 SK그룹과 인수합병(M&A)을 논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산업 전반으로 위기감이 확산 되는 추세다.
주요 원인은 중국시장의 붕괴다. 현지 로컬업체의 성장으로 더 이상 설 땅이 없다. 로엔드 부문서는 이미 경쟁력을 상실했고 미드레인지 부문까지 치고 올라오는 추세다. 하이엔드 부문서 중국 로컬 업체와 경쟁해야 할 날도 머지 않았다. 국내 업체간 과당경쟁도 큰 몫을 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중국시장을 놓고 국내 업체간 과열 경쟁을 벌이다 보니 기술 유출 사건도 심심찮게 일어난다. 그러다 보니 기술력의 차이도 현격하게 줄었다.
기술 차별화에도 실패했다. 휴대폰 산업을 단순조립산업으로 인식, 기술 개발을 등한시 한 결과 중국·대만업체들과의 차별화를 이어가지 못했다. 단순 조립 부문이라면 인건비 경쟁력을 갖춘 중국업체들을 당해낼 재간이 없다. 현격하게 뒤떨어진 비즈니스 마인드도 문제다. 중국시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접근, 기술만 전수해 주고 쫓겨나는 사례가 속속 터져나왔다. 아예 현지 마케팅은 꿈 꿀 수도 없는 상황이다.
국내 금융지원 시스템의 부재도 한 몫을 했다. 금융기관의 생리를 모르는 바는 아니지만, 시장 상황이 안 좋다는 이유만으로 대출자금을 회수하면 견뎌낼 중소기업은 거의 없다. 얼마전 휴대폰업계의 A기업은 시장상황이 안 좋다는 이유로 은행이 대출자금 회수를 결정하는 바람에 자금 유동성에 몰리는 아찔한 경험을 했다. 정부의 개선책은 구두선에 그칠 뿐이다.
이러다 보니 200여개사에 달하는 국내 중견·중소 휴대폰 업체중 태반이 머지않아 문닫을 것이라는 ‘괴담‘까지 공공연하게 나돌 정도다. 휴대폰 B사의 관계자는 “대부분의 국내 중견·중소기업이 기술력이나 노동력에서 중국의 가능성을 과소평가한 결과 전혀 대비를 못한 채 이 같은 상황을 맞았다”며 “기술을 불법으로 유출하는 상황까지 벌어져 스스로 위기를 초래한 셈이 됐다”고 진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견·중소 휴대폰업계는 활로 모색에 적극적이다. 인수합병(M&A)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한다거나 대기업과의 전략적 협력관계 모색에도 나서고 있다. 동종업체간 수직계열화나 틈새시장 전문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시된다.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금융 지원시스템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정부가 앞장서 휴대폰산업의 파이를 키우기 위해 나서야 한다는 주문도 이어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말기 제조는 물론 부품을 포함한 이동통신솔루션·플랫폼 연방산업군, 통신·방송·금융을 융합한 차세대산업군의 전략적 육성도 필수적이다
박승정기자@전자신문, sj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