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채 문화관광부장관은 8년이란 기간 동안 한 우물만 팠다. 자의든 타의든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소속 의원으로 15, 16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17대 국회의 첫발에 문화관광부 장관으로 취임했다. 누가 봐도 그의 이력은 문화 전문가다. 문화부와 어떤 인연인지 몰라도 그는 분명 문화부 ‘터줏대감’이다. 그의 홈페이지에도 정치인이라는 수식어 외에 ‘문화인’이라는 별칭을 달고 있다. 스스로 붙인 것이라 하더라도 그만큼 문화와 관련돼 자신감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당연히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아직도 문화산업이라는 말에 익숙해 있는 사람은 얼만 안 된다. 국민의 정부 이후 문화의 산업적 가치에 무게를 두게 됬다. 이젠 문화산업이 차세대 한국경제를 이끄는 동력이 될 것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 만큼 문화산업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는 문화에 산업이라는 꼬리표를 붙일 즈음 정책의 핵심에 있었다. 문화산업 정책 원년멤버다. 이제 그 산업의 수장 역할을 맡았다. 씨를 뿌렸으니 가꾸고 거두어야 하는 위치에 서있는 것이다.
정 장관의 문화부장관 취임을 두고 여러 가지 해석이 난무했다. 참여정부 제2기 언론개혁의 총대를 멨다는 해석이 그 중 가장 사실성 있는 분석이었다. 문화부가 언론 관련 주무부처이고 정 장관 또한 언론인 출신이라는 것이 이 같은 분석에 설득력을 더했다. 1기 언론개혁이 시끄러운 마찰음만 냈다면 좀더 부드러운 억양의 세련된 개혁 추진이 정 장관의 임무라는 것이다.
어떻든 좋다. 정 장관의 문화부가 우선과제를 언론개혁에 두는 것도 현정권하에선 무리가 아니다. 그러나 문화부가 민생안정을 외면한 비경제부처로 언제까지 따로 놀 순 없다. 언론개혁이 민생고에 허덕이는 국민의 고용창출, 생활안정에 얼마만큼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는 생각해 볼 문제다. 국민이 바라는 개혁은 개선된 삶을 전제로 한다.
문화가 산업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왔을 때 그 시너지는 예상외로 크다. 이미 영화와 온라인게임이 이를 증명해 보였다. 따라서 정 장관의 문화부는 최고의 경제부처이어야 한다. 관광과 함께 굴뚝 없는 산업으로 문화산업을 육성해야 하는 막중한 책무가 있다. 정 장관은 최근 문화부 실·국장회의에서 “콘텐츠산업의 진흥, 장려에 역량을 집중하겠다.”다고 밝힌바 있다. 그의 의지가 계속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경우기자@전자신문, kw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