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FTTH 활성화를 위한 조건

최근 광대역통합망(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이 국내의 차세대 통신망의 인프라의 발전적 전형으로 설정돼 정보통신부가 이를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즉 방송과 통신의 융합 그리고 무선과 유선망의 통합이라는 큰 화두를 내걸고 2012년까지 가입자당 하향 50에서 100Mbps를 보장하는 것이 그 목표 중 하나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내 통신망 전반에 걸쳐 엄청난 변화가 필요하겠지만, 외관상 가장 눈에 뛰는 가입자망 기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광가입자망(FTTH), HFC망(Hybrid Fiber Coaxial망, 혹은 케이블망), 동선(Copper Cable)의 기술적 비교 검토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가입자당 양방향 100Mbps급 FTTH기술이 표준화되고 있고, HFC망 또한 전송 능력이 가입자당 하향 수백 Mbps 보장이 가능한 현실적 전송시스템 개발이 전 세계적에서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동선 기술 또한 하향이 100Mbps까지 가능한 VDSL+혹은 VDSL 2 기술이 최근에 개발됐다. 즉 이 세 가지 기술 모두가 이미 2012년까지 목표로 잡은 가입자당 50∼100Mbps급의 기술인 것이다.

 FTTH가 가지고 있는 차별점은 그 상향 전송 능력에 있다. FTTH를 제외한 다른 기술은 상향 전송 능력으로 현재 가입자당 최대보장 속도가 5Mbps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FTTH를 제외한 다른 기술은 망교체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FTTH를 도입하기 위해 최근에 정보통신부가 정보통신 특등급 건축물 인증제를 도입했다. 이로 인해 100가구 정도의 아파트가 올해 특등급 인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대표적 건축사업자에 의하면 FTTH를 구축하기 위해 33평 아파트 기준으로 300만원 정도가 추가로 소요된다고 한다. 이 가격은 물론 단말기 가격을 제외한 가격이다. 약 300만 특등급 가구를 건축한다면 9조원 정도가 소요될 것이고 여기에 광단말기까지 포함한다면 10조원 이상이 소요될 것이다. 그 외에도 거기에 수반되는 전달망 업그레이드 비용까지 포함한다면 상상하기 어려운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천문학적 비용을 언젠가 회수할만한 서비스가 무엇이냐에 FTTH 추진여부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동선이나 케이블망을 써서 도저히 제공할 수 없고 그 서비스로 인해 수년 내에 비용을 회수할 수 있는 광대역 서비스를 찾아야만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FTTH를 통해 고선명(HD) TV 및 주문형비디오(VoD)를 보급하는 것이 마치 FTTH 도입의 궁극적 이유인 것처럼 되어 있다. 물론 수 테라급의 전달망 및 QoS 이슈를 차치하더라도, HDTV와 VoD는 VDSL+ 혹은 HFC망을 통해 이미 가능한 서비스다.

 더구나 전국 1200만 가입자에게 케이블방송서비스를 하고 있는 HFC망의 방송체제를 통해 100 채널이상의 HDTV 및 VoD 전송이 이미 가능하다. 단지 국내 케이블사업자가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이유는 국내 시장이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FTTH의 보급의 이유를 다른 서비스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즉 FTTH만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양방향 100Mbps를 충분히 활용하면서도 그 비용을 사용자가 수년에 걸쳐 기꺼이 지불할 수 있는 그러한 서비스를 찾지 못한다면, FTTH의 국내 도입은 앞으로 많은 시련에 직면할 것임에 틀림없다.

 1990년대 말 ADSL은 사용자의 강력한 고속 인터넷 도입 욕구가 있어서 크게 성공했고, 70년대 초 경부고속도로는 국가가 모든 비용을 제공했고 중장기에 걸쳐 수요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성공했다. 어차피 FTTH를 정부 자금이 아닌 민자로 구축하겠다면, 적절한 서비스의 발굴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박승권 한양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교수 sp2996@han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