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포럼]게임산업 정부지원 방안

온라인게임 산업이 앞으로 우리나라의 효자 산업이 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그렇게 낙관만 할 것은 아니다. 현재는 우리나라가 왕좌를 차지하고 있지만 앞으로 다른 국가들과의 무한 경쟁을 해야 한다. 바로 온라인게임 산업분야의 춘추전국시대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의 효율적인 지원과 기업체의 노력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국내 게임개발업체는 2000개가 넘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업체당 한 개의 게임을 개발한다고 해도 우리는 2000개가 넘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은 나름대로의 방법과 노하우를 통해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유통사를 통하는 곳도 있고 E3 같은 해외전시에 참가하는 업체도 있다. 이러한 방법은 다소 고전적인 방법으로, 콘텐츠를 수출하고자 하는 세계의 모든 업체가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이다.

 우리의 경우에는 보다 공격적인 방법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외국 현지의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사업설명회나 제품설명회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쇼는 일년에 한번 또는 시즌마다 개최되는 전시회에 참가하는 것과는 또 다른 차원의 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수출이 이뤄지는 과정에 있어서의 법률적 도움에 관한 문제다. 최근 들어 온라인게임의 해외수출이 활성화되는 추세이므로 일부 대형 제작사의 경우 현지에 사무실을 두어 현지 변호사 등을 활용해 법률적인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부 대형업체에 해당되는 얘기고 대부분의 기업은 현지에서 법률적인 도움을 받지 못한 채 수출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실정이다 보니 불리한 계약을 할 수밖에 없으며, 심지어 수출대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업체도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수출 가능 지역의 변호사를 정부 차원에서 고용하여 업체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있고, 직접적으로 현지변호사의 자문료를 지원해 주는 방법도 있다. 또는 국내에 수출과 관련된 기관의 국제변호사에게 법률적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정부의 자금지원에 관한 제안도 있다. 정부의 지원은 관행적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자금의 50∼80%선에서 지원이 되는 경우가 많다. 정부 입장에선 한정된 예산으로 수혜기업을 늘린다는 효과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기업체의 입장에선 이러 자금은 집행하기도 힘들 뿐더러 기대 이하의 효과를 주기 쉽다. 그러다보니 일부에서는 절차가 까다롭고 번거로운 정부자금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하는 업체도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체와 정부의 신뢰관계가 형성이 된다면 자금의 집행과정에서 일부의 지원이 아닌 전체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효율적인 면에서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사와 관련해선 전문화된 현업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심사에 참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업계를 대표하는 심사위원은 대부분 기업체 대표가 참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경영적 관점에서 심사를 하기 때문에 기업체가 가지고 있는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평가가 부족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따라서 꼭 기업체 대표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기술적인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현장경험이 많은 인력들이 심사에 참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정부자금의 탄력적인 운용에 관한 부분도 빼놓을 수 없다. 최초 지원할 때 업체에서 견적한 장비 나 소프트웨어 등이 실제 자금을 집행할 시기가 되면 더 좋은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부자금의 경우 이러한 발 빠른 변화에 대응하기에 탄력적이지 못하다. 자금 신청시보다 더 좋은 용도의 소프트웨어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신청시 견적을 준용해야 한다는 생각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구버전의 장비를 구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기업체의 일부 부담을 전제로 사용 용도에 맞는 장비나 소프트웨어 등을 인정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지원이라고 생각한다.

 <정재성 미리내엔터테인먼트 사장 taemiru@mirina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