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2년 문화관광부에서 발표한 ‘도서관발전 종합계획’은 도서관 발전의 마스터플랜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한국의 도서관 환경은 선진국 도서관과 비교해 보면 너무나도 열악하다. 거주지의 가까운 곳에 도서관이 없어 몇 시간 동안 차를 타고 가야 겨우 찾을 수 있고, 보유 장서의 양 또한 절대적으로 부족해 ‘볼만한 책이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것이 현실이다.
문화부가 2003년 4월과 11월에 각각 발표한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1차연도 추진계획’과 ‘도서관발전 종합계획 2003년도 추진실적’을 비교해 보면 자료(콘텐츠) 확충의 결과를 알 수 있다. 추진계획에서는 문고를 포함해서 공공도서관 자료 확충에 116억원을 지원하겠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108억원만을 지원해 계획과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02년의 지원실적(89억원)보다 많기는 하지만 당초 지원계획과는 차이가 있다.
도서관은 그 수도 중요하지만 좋은 책과 최신의 자료가 충분히 갖춰져 있어야 그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문화기반지수에 따르면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해 우리나라의 도서관수와 장서수는 이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의 자료구입비를 지속적으로 늘려나가 양질의 장서를 확충해야 한다. 또한, 늘어난 장서는 효율적으로 관리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을 편리하게 해야 한다. 일부 도서관의 경우 장서관리가 제대로 안돼 이용에 불편을 초래한 예가 있다.
최근에는 도서관 이용자들의 개인정보 유출이 문제가 되어 이에 따른 시급한 조치가 요구된다. 선진 도서관에서는 장서의 효율적 관리와 개인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도서에 전자태그(RFID)칩을 내장하여 장서를 관리하고 있다. 첨단 무선주파수 인식기술을 활용한 13.56MHz대역 RFID도서관시스템은 전세계 200여개 도서관에 도입돼 이미 그 효과 및 기능의 안정성이 입증됐다. 국내에서도 신설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RFID시스템을 구축해 도서관 이용자의 편의성 증대 및 도서관 경영 효율의 향상을 기하고 있다.
그동안 추진됐던 도서관 정보화 사업이 주로 자료구입, 전산시스템 및 DB구축 등에 치중돼 왔다면 앞으로는 이용자 서비스 향상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시스템인 RFID 사업에도 적극 투자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국내 RFID사업 중 가장 활성화된 분야의 하나라 할 수 있는 RFID도서관시스템이 전 세계 선진기술 기반 시스템으로 빠르게 발전해 간다면, RFID 관련 산업 및 핵심 산업 영역인 물류·유통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유비쿼터스 도서관으로 가는 핵심 기반의 하나인 RFID도서관시스템이 머지않아 ‘언제 어디서든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가능한 도서관’으로 발전할 날도 그리 먼 미래만의 일은 아닐 것이다.
정부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도서관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도서관정보화 사업으로 구축한 원문 데이터베이스를 공공도서관에서 공동 활용하기 위한 계속적인 시스템 기반 구축 및 저작권의 예외적용과 디지털 원문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저작권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고 밝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국의 ‘밀어붙이기’식 정책추진으로 개인의 저작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도서관정보화사업은 도서관은 물론 그와 관련한 모든 사람의 이해와 합의에 근거해 추진해야 한다. 또한 도서관정보화사업의 내용을 원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업 등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이용자들이 도서관 이용을 편리하게 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도서관 이용 서비스의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신기술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혀나가야 한다.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준비하는 ‘지식정보의 보고’인 도서관에 대한 정책 지원사업에 정부의 인식 전환을 기대해 본다.
◆김영태 아이원이즈 사장 ceo@daor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