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가 침체의 늪에서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해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IT수출은 여전히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내수와 투자는 살아나지 않고 있다. 더욱이 기업들의 해외이전까지 늘어나 성장동력을 상실해가고 있다. 이 같은 상태가 지속되면 한국경제는 재도약의 디딤돌을 마련하지 못하고 좌초되고 말 것이다. 정부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나름의 대안을 내놓고 있지만 기업 투자와 소비 모두 바닥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IT후방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업 간 실시간 핫라인을 설치하고 투자효율화를 위한 특화지원프로그램을 가동키로 한 것은 IT경쟁력 제고를 위해 의미있는 일이다.
잘 아는 것처럼 IT산업은 수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 산업의 원동력이다. 일자리 창출이나 부가가치면에서도 단연 우위에 있다. 우리의 IT산업은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들의 참여로 경쟁력을 확보해 인터넷 강국의 위상을 마련했다. 이런 시점에서 정부가 WCDMA서비스에 오는 2006년까지 3조원을 투입하고 기업의 기를 살리는 데 역점을 두겠다고 한 것은 우리 경제를 재도약시킬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에서 기대가 되는 일이다.
세계 최고의 IT인프라를 구축한 우리가 그동안 축적해온 통신기술과 품질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활력소를 되찾아 민·관이 일치단결해 IT뉴딜을 추진할 경우 그 파급력은 엄청날 것이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가 남보다 앞서 확보한 IT산업을 원동력 삼아 침체된 한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일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기업들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수를 진작시키면 일자리도 늘어날 것이고 심각한 인력난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은 작년 18위에서 올해는 11단계나 아래로 곤두박질쳐 29위로 밀렸다고 한다. 기술 지수마저 6위에서 9위로 떨어졌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새로운 자세와 도전을 요구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IT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기술과 도전정신으로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한 IT뉴딜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러자면 정부는 우선 기업들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고 기업할 수 있도록 최적의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또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신규시장 창출을 위한 신규 국가프로젝트도 함께 추진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뉴딜 경제정책의 체계가 국가와 기업의 협동체제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미국는 뉴딜정책을 추진하며서 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금융지원 등 기업친화 환경을 통해 내수를 촉진함으로써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정부는 기업들이 바라는 규제완화에도 보다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지금은 국내 기업간의 경쟁이 아니라 세계 기업과의 경쟁이다. 국내에서 손을 묶는 식의 규제는 과감하게 풀어 국내 기업들이 세계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정책의 큰 틀과 방향을 설정하고 지원하는 정부 못지않게 IT리더와 기업들의 역할도 중차대하다.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해 IT신화를 다시 만들어야 한다. 기술개발과 인력양성, 제품의 품질향상 등에 주력해 기업의 대외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특히 IT리더들이 공동체 인식아래 IT리더간 생산적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통로로 대기업과 중소기업, 벤처 등이 상생의 협력모델을 만들어 원원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전자신문사가 어제 IT분야 각계 리더들과 초청해 간담회를 연 것도 IT뉴딜로 경제위기를 타개하자는 취지에서다. 우리가 축적한 디지털 역동성을 한껏 활용해 IT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국가 경쟁력 향상이라는 두가지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IT뉴딜 추진에 민·관이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