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이름 뿐인 부산게임영상협회

 “일대 혁신이 필요한 시점인데도 수수방관만 하고 있습니다.”

 부산지역 디지털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의 푸념 섞인 말이다. 지역 업계의 기대속에 사단법인으로 출범한 지 1년을 넘기고 있는 부산게임영상협회가 오히려 업계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지역 정보기술(IT) 산업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사업자 단체들 역시 침체 국면으로 빠져들고 있지만 비슷한 상황의 여타 사업자단체와 달리 별 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 데 대한 반응인 셈이다.

 실제 부산지역 IT 사업자 단체들은 전자태그(RFID) 분야 등 신산업이나 제조업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고 최근 지역 내 대학들과 산·학협력도 부쩍 활발한 모습이다.

 반면 결실을 생각해야 할 현 시점에서 부산게임영상협회의 올해 활동을 보면 ‘이공계 미취업자를 위한 디자인 인력 교육사업’과 국내외 전시회 참가 정도가 고작이다. 본령이라 할 정책적 제안이나 산·학협력 관련 활동은 눈을 씻고 찾아보려 해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나마 추진중인 활동에 대한 회원업체 사장들의 평가에 대한 업계의 반응도 후한 편이 아니다.

 “실적도 별로 없는데다 산·학협력이나 부산시·중앙에 대한 정책제안 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정도다.

 회원사와 업계는 회원사 확충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는 점에 대해서도 의아해 하고 있다. 회원사 수는 총 7개. 부산에서 디지털콘텐츠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가 100여개라고 했을 때 10%도 안된다. 이러다 보니 회장과 부회장 3인을 제외한 3개 기업 대표가 게임분과·모바일분과·영상분과로 나누어 ‘분과원 없는 분과장’을 맡고 있다.

 모 업체 사장은 “협회의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는 “2001년 출범당시 20개였던 회원사가 사단법인 전환과정에서 절반 이하로 줄어든 이유가 단지 업체들의 합병이나 폐업만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협회장의 역할은 대외적으로 과시하거나 자기 사업만 영위하기보다는 회원사와 업계 전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는 말까지 듣고 있는 부산게임영상협회의 갈 길은 어디일까.

  경제과학부·부산=허의원기자@전자신문, ewh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