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칼럼]남북 통일 물꼬 트는 `IT효과`

북한은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사상·총대·과학기술을 3대 핵심 축으로 설정하고, IT인력 10만명을 양성하는 등 컴퓨터 SW 관련 산업 발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난 2002년에 발표한 소위 ‘7·1 경제관리 개선조치’를 계기로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 대외 교류협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김일성 종합대학을 비롯한 주요 대학과 연구기관은 SW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들의 기술에서 단연 돋보이는 것은 새로운 알고리듬 기법의 그래픽·언어처리·음성인식 등이다. 학교 등지에 펜티엄급 PC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이들 기관은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러시아·유럽·중동 등과 공동 연구를 수행한 경험도 가지고 있다. 특히 북한의 김책공대의 경우는 미국 시러큐스대학과 IT분야에 있어 상호 방문하는 등 활발하게 연례 교류를 하고 있다.

 남북 IT교류는 지난 1988년 금강산 관광 허용 등 남북 화해무드를 타고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000년 3월 삼성전자와 북한 조선콤퓨터센터(KCC)의 통일워드 공동 개발을 필두로, 하나로통신과 삼천리 총회사의 3차원 애니메이션 공동제작, 포항공대와 평양정보센터(PIC)의 가상현실분야 공동연구 등 남북 IT교류는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 밖에도 아이엠알아이(IMRI)는 평양공장에서 PC모니터를 생산·수출하고 있고 훈넷은 조선장생무역 총회사와 함께 평양에 PC방을 개설하는 등 교류의 폭이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남북의 IT교류를 좀더 효율화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의 논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첫째, SW 교류를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 북한은 마이크로소프트(MS)로부터 국가 승인을 받지 못한 탓에 리눅스를 기본 OS로 개발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리눅스분야에서는 상당히 앞서 가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SW 교류를 위한 방법으로는, 단기적으로 애니메이션·디지털만화·가상현실·용어 표준화를, 장기적으로는 공동 연구개발·인프라 구축·교원 양성프로그램·표준화·국제 프로젝트 공동수행 등을 들 수 있다. 북한은 마케팅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서로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한다면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 둘째, 이산가족을 위한 원격영상시스템을 만들어 상시 사이버 상봉체제를 마련하는 일이다. IT 교류 활성화뿐만 아니라 통일도 앞당기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셋째, SW 우수인력 채용도 중요하다. 친북한지역 진출 땐 경쟁력을 갖춘 북한 IT인력을 채용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개성공단 등을 통한 경협이 활성화돼야 하며 남북 IT 교류를 위한 별도 규정 마련과 함께 방북 절차와 사업승인의 간소화, 남북교류 협력기금의 적절한 지원이 수반돼야 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SW교류를 위해서는 조총련 등을 아우르는 범한민족 네트워크를 구축, 활성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북 IT교류가 다양하게 펼쳐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감스럽게도 현실 곳곳엔 아직도 수많은 걸림돌이 있다. 남북한 통신체제의 호환성 미비와 대공산권수출조정위원회(COCOM), 1996년 체결된 바세나르협정(WA) 등 대 공산권 수출통제 조치로 고성능 HW 교류가 원천봉쇄되어 있다.또한 북핵 문제로 인한 북미 대결, 북한 당국의 교류 확대 의지 부족, 남북 IT수익성 불투명 등과 물류체계의 허약성을 들 수 있다.

 전산화는 네트워크로 연결돼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1세기는 IT시대이고 앞으로 IT발전 없이 경제발전은 없다”고 IT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우리 참여정부도 ‘동북아 중심국가 건설’을 표방했다. 양자의 울타리는 경제발전이며 그 핵심에는 IT가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다. 분단 조국이 ‘IT효과’를 통한 통일의 물꼬가 터지길 기대한다.

◆백원인 현대정보기술 사장 wonin@h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