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일반국민 200명에게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출범하는데 알고 계시냐’고 물었더니 10명 정도(4.8%)가 ‘알고 있다’고 대답했다. 그 200명에게 ‘과학기술혁신본부가 국가기술혁신체계 구축에 얼마나 기여할 것 같냐’고 다시 물었더니 무려 140명 이상(70.2%)이 ‘크게 기여(10.1%)’하거나 ‘기여(60.1%)’할 것으로 응답했단다.
과학기술혁신본부 자체에 대한 인지도가 4.8%에 불과한데 70.2%가 본부의 역할에 큰 기대를 가졌다는 것.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 느낌이다. 응답자 200명으로 일반국민의 뜻을 헤아린다는 것도 조금 이상하다.
26일 과학기술부가 리서치전문기관인 코리아데이타네트워크에 의뢰해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5일까지 실시한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일반국민 200명, 산·학·연 전문가 1200명, 공무원 400명 등 1800명이 참여했다.
과기부는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일반인(35.6%)과 산·학·연 전문가(40.7%)가 ‘과학기술인력 정책 수립 총괄 및 조정’을, △공무원(33.0%)이 ‘국가연구개발 사업 투자우선순위 설정 및 예산 배분·조정’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며 이를 과학기술혁신본부 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밝혔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과기부의 부총리 승격과 함께 야심차게 도입하는 ‘민·관 협력형 정부행정모델’이다. 따라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하는 등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단계를 밟는 것까지는 크게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그 신뢰성에 의문이 일 수밖에 없다. 특히 일반국민 200명은 과학기술혁신정책의 방향을 수립하기에 너무 빈약한 표본집단이다. 물론 이번 설문조사에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공무원과 산·학·연 전문가 1600명이 참가했기 때문에 ‘여론 수렴작업 자체’가 그릇된 일이라 말할 수는 없겠다. 그렇다손 치더라도 ‘국민인식조사’라는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9개 정부 공무원들과 민간 전문가 106명으로 구성돼 국가 과학기술 중심사회를 구축해 나갈 중심축이다. 그 역할에 대한 정부 부처 안팎의 기대도 높다. 어설픈 설문조사 하나가 이제 막 태어난 과학기술혁신본부의 ‘희망찬 얼굴’에 흠집을 내지 말아야 할텐데….
경제과학부=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