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현지시간) 실시된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의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미국은 전자개표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50개주 전역에서 참여한 1억4300만여명의 투표 결과는 만 하루도 지나기전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002년 지방선거에서 전자개표 시스템이 첫 도입돼 2003년 지방선거, 올해 총선 등에 적용되면서 불과 3~4시간 만에 신속하게 후보자의 당락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수작업에 의존했던 시절 유권자나 후보자나 맘졸이며 밤을 새웠던 기억은 그야말로 `기억`에 지나게 된 것이다.
◇미국 전자투표 방식 도입..우리나라는 `아직` 미국과 한국의 전자개표 시스템은 전체적인 메카니즘이 유사하지만 투표방식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크게 다른 점은 미국의 경우 투표후 바로 기계가 이를 읽는 반면, 우리나라는 수작업이 일부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미국의 경우 전자투표 방식도 일부 도입, 전자개표의 효율성이 제고되고 있다.
미국의 투표방식은 주별로 투표용지에서 지지 후보에 구멍을 뚫는 `펀칭` 방식과 OMR 카드에 기입하는 방식, 기계를 사용하는 레버 방식, 그리고 모니터에 손가락으로 원하는 후보자를 찍는 `터치스크린` 방식 등으로 나뉘어 진다.
지난 2000년 펀칭 방식을 택했던 플로리다주 개표 과정에서 펀칭에 따른 `부스러기`가 제대로 떨어졌는 지를 놓고 논란을 야기한 바 있어 이번엔 아예 투표부터 전자로 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방식을 택한 주가 많아 화제가 됐다.
그러나 지난 10월 18일부터 시작된 조기선거에서 터치스크린 방식은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유권자 신분 확인 과정에서도 오류가 발생하는 등 아직까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 우리나라에서도 한 때 터치스크린 방식의 전자투표 기술 개발에 착수하기도 했으나 현재 중단된 상태로 알려졌다.
전자개표 장비 개발업체 관계자는 "용지없이 후보자의 이름과 사진에 터치하는 방식의 투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나섰으나 용지가 없으면 나중에 부정시비가 일 경우 조작 가능성을 판독할 물적 근거가 없다는 의견이 많아 현재 추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한 동안 투표용지 위에 나뉘어진 후보자 칸에 도장을 찍는 방식을 계속할 전망이다.
상당수의 전문가들도 "전자투표를 도입하면 개표 시간을 줄일 수 있겠지만 컴맹이나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층 등에 대한 형평성이 문제가 되고 해킹 등 보안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전자개표 이용 선진국서 `활발`전자투표에 비해 전자개표는 이제 선진국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일본과 영국 등에서 도입됐다.
현재 프랑스는 관련 법률을 마련중이다.
미국에선 유권자들이 여러 방식으로 투표를 한 뒤 바로 기계가 이를 읽게돼있지만 우리나라는 일단 투표용지를 접어 함에 넣는다.
투표를 마친 뒤 수거된 투표용지를 하나하나 기계에 스캐닝하는 작업은 손으로 해야 한다.
이렇게 스캐닝이 끝나면 이후론 `전자 시스템`이 알아서 해 준다.
후보자별 득표사항을 집계하고 동시에 투표용지 분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나온 결과를 실시간으로 통신망을 통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보낸다.
선관위는 이렇게 받은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방송사나 포털 사이트 등에 제공, 국민들은 신속하게 개표상황 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전자개표 시스템을 맡아 온 SK C&C에 따르면 특히 개표 결과 조작 등 해킹 방지를 위해 통신 방식을 인터넷방식(TCP/IP)이 아닌 시리얼 방식(보안을 위해 인터넷망과 독립된 별도의 접속망)을 적용했고 애매하게 표기되거나 이중 기표된 용지는 무효 처리하지 않고 `미분류`된 것으로 걸러내 수작업을 통해 작업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를 비롯해 선진국 위주로 전자개표가 활발해 지면서 우리나라에서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지역으로 시스템 수출을 꾀한 적이 있다.
SK C&C는 실제 필리핀 선관위에 1000만달러 규모의 전자개표 시스템을 공급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중단한 상태. SK C&C 관계자는 "전자개표는 정치적으로 안정되고 선진화한 국가가 아닌 경우엔 끊임없이 과정에 대한 불신이 높고 부정시비가 일어 도입되기 어렵다"고 밝혔다.
[edaily 김윤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