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T, MP3 음악 무료공급 나선다

LG텔레콤이 마침내 무료 MP3 음악 공급 이벤트를 시작한다.

업계에 따르면 LG텔레콤과 대중음악비상대책협의회는 지난 5일 ‘LG텔레콤이 100억원의 음악발전기금을 내고 내년 6월까지 LG텔레콤 MP3폰 가입자들이 특정 유료 사이트에서 MP3를 무제한 받는 행사를 진행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정식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확인됐다.

계약서상 행사 개시 일자는 11월 1일. 양측은 사이트 선정 등 세부 절차가 마무리되면 곧바로 행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100억원의 음악산업발전기금 중 60억원이 저작권료와 저작인접권료, 실연권료, 사이트 운영비 등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40억원은 음악사랑 캠페인, 유료화 기술개발 등에 사용된다. 쟁점이던 무료음악 서비스 사이트는 5개로 한다는 기준만 세워놓고 추후 결정하기로 했다. 이밖에 세부 계약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LG텔레콤은 무료 MP3폰을 앞세워 SK텔레콤 및 KTF와의 가입자 유치 경쟁에서 유리한 요소를 확보하게 됐다. 반면 LG텔레콤의 이번 이벤트가 전체 음악 시장은 물론 이동통신 시장까지 죽이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라는 콘텐츠제공업체(CP)와 타 이동통신사의 반발이 거세 향후 전개과정에 귀추가 주목된다.

◇윈윈 협상 vs 시장 망치는 야합

이번 계약 체결을 바라보는 협상 당사자들과 외부의 시각은 판이하다. LG텔레콤과 한국음악산업협회, 한국음원제작자협회, 한국예술실연자단체연합회 등 계약 체결 당사자들은 이번 계약이 이동통신사와 음악계, 소비자 모두가 윈윈하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LG텔레콤은 자사 MP3폰 사용자에게 무료 음악을 제공해 가입자를 유치하고 음악계는 발전기금에서 음원 이용료를 보전받으면서 소비자들을 합법 사이트로 유도함으로써 유료화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도 당분간 비용 부담 없이 최신곡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반대하는 진영은 이번 계약이 몇몇 이해당사자들에게만 이익을 안겨주는 야합이라고 비난한다. 합법 사이트에서 이벤트성으로 무료 음악을 제공한다고 소비자들의 유료화 마인드가 높아질 리는 만무하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무료 음악 공급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유료 콘텐츠 시장은 황폐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LG텔레콤에만 가입하면 무료로, 합법적인 사이트에서 무제한 MP3를 받을 수 있는데 누가 돈을 내고 콘텐츠를 사겠냐는 것이다.

◇저작권료 징수 규정과의 괴리

‘저작권료 징수 규정과의 괴리’ 해결도 관건이다. 현재 CP와 서비스 업체들은 국가가 정한 저작권료 징수규정에 따라 음원권리자들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악 한 곡을 서비스해서 올린 매출의 몇 %는 음악저작권협회에게, 몇 %는 음원제작자협회에 주고’ 하는 식이다.

CP들은 “LG텔레콤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한시적으로 무료음악을 제공한다면 징수규정에 따라 정상적인 사용료를 납부하는 CP들과 서비스업체들과의 형평성에 크게 어긋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나아가 저작권료 납부 거부 운동을 펼치겠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이에 음악계는 협상 과정에서 ‘실제 사용된 음악의 저작권료가 LG텔레콤이 제공하는 기금을 넘어설 경우 추가 비용을 받아야한다”는 주장을 펼쳤지만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해야하는 LG텔레콤이 양보할 리 없었다.

결국 LG텔레콤과 대중음악비대협이 체결한 계약서에는 세부적인 징수규정은 없고 ‘내년 6월까지 무료 다운로드 이벤트를 진행한다’는 내용만 있다. 핵심사안 조정에 어려움을 겪자 일단 큰 틀에서의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음악계는 징수 부분에 대한 후속 논의를 기대하고 있지만 계약서상 문구만으로 놓고 보면 LG텔레콤으로부터 추가 비용을 받아내기는 쉽지 않다는 것이 업계 전반의 해석이다.

◇쉽지않은 행보

LG텔레콤이 대중음악비대협과 마침내 본계약을 체결했지만 갈 길은 멀다. 지금 당장 행사를 진행할수는 있지만 음악계의 한 축인 한국음악저작권협회와 한국예술실연자단체연합회와 추가계약을 체결해야만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는 8일 이사회를 열고 LG텔레콤과의 협상안에 대한 막바지 조율을 진행한다.

음악저작권협회와 협상이 이루어진 후에는 “콘텐츠 산업의 공멸을 막아야한다”고 주장하는 CP들의 반발을 뛰어넘어야 한다. CP들은 이번 사안 해결에 자신들의 ‘밥줄’이 걸려있다는 판단으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생각이다.

정진영기자@전자신문, jy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