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에도 ‘환리스크’가 가중되고 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000원대 선마저 위협하면서 해외 게임수출 및 현지서비스 매출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게임업계 수익구조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올 하반기 들어 인기작을 중심으로 중국, 일본시장으로의 대규모 수출 계약건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환율 하락에 따라 업체들이 실제 확보하는 계약금 가치나 원화 현금은 크게 줄어드는 등 화려한 계약내용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달러 기준 수출계약 의존으로 ‘취약’=한국게임업체들이 수출 계약을 맺을 때 기준으로 삼는 통화는 단연 달러다. 따라서 원달러 환율하락은 게임업계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가져올 수 밖에 없다. 특히 초기계약금(이니셜 피)은 단발성 또는 1∼2회 정도로 나눠 지급되기 때문에 환율에 따른 장기적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다 하더라도, 서비스 매출배당액(러닝 개런티)의 경우 계약기간이 1∼2년 정도여서 환율하락이 장기화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낳을 수도 있다.
문제는 계약 목적물인 게임콘텐츠를 한국 업체가 만들어 놓고도 통화거래의 안정성에 대한 보장장치를 계약내용에 전혀 반영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시장규모의 매력에 이끌려 계약 자체의 불평등 조건을 무릅쓰고 ‘환리스크’라는 부담까지 떠안고 있는 상황인 셈이다.
◇서비스 이후가 더 큰 문제=예컨대 중국서비스를 통해 월 200만달러의 수익을 벌어들이고 있는 A게임의 경우, 달러대 원화 환율이 60원 가량 떨어진 요즘 3개월 전에 비해 가만히 앉아서 월평균 수익을 1억2000만원씩 까먹고 있다. 계약이 1년 정도 남아있다면 아무런 보상대책 없이 낮아지는 환율 만큼 고스란히 매출수익이 줄어들게 된다. 또 외국서비스를 통해 들어오는 수익을 외화예금으로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물론 이는 환율이 오를 때를 대비하는 측면도 있지만 내년 1000원대 붕괴가 예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리스크 완화가 아니라 도리어 심각한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환 리스크 전담팀 등 전담인력 가동 필요=게임업계도 너나없이 해외시장서 활로를 뚫고 있다. 누구도 환율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입장인 것이다. 이런 때 환율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과 착실한 준비는 해외사업 자체의 지속성을 좌지우지할 만큼의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극소수 대형업체들에서만 운영되고 있는 환리스크 전담팀을 업체별로 운영할 필요가 제기된다. 또 게임산업협회 등 협단체도 환리스크 예방을 위한 업계 경보 체계를 도입하는 등 공동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진호기자@전자신문, jho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