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휴대폰 빅3`의 R&D투자 증액

 국내 ‘휴대폰 빅3’인 삼성전자·LG전자·팬택계열의 내년도 연구개발(R&D) 투자액이 사상 최초로 3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라고 한다. 최근 주요 상장 IT기업들이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R&D 투자 비중을 되레 줄이고 있는 상황을 감안할 때, 휴대폰 빅3의 이 같은 공세적인 R&D 투자 전략은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휴대폰 빅3가 내년에 3조원 이상의 뭉칫돈을 R&D에 투입하는 것은 첨단 차세대 단말기 개발을 통해 브랜드 파워와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글로벌 스탠더드와 현지화 요구를 동시에 충족하는 ‘글로컬리제이션’에 초점을 두고 투자하겠다는 것이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세계 휴대폰 시장의 기술 트렌드에 맞춘 우리 나름의 기술 로드맵을 만들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결정이라고 본다.

 사실 휴대폰은 반도체와 함께 우리 경제를 이끄는 효자 수출상품이다. 올 들어서는 금액 면에서 1위 수출상품인 반도체를 조만간 추월할 것 같다는 성급한 전망까지 나올 정도로 가파른 수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삼성과 LG전자가 뚫기 어렵다는 이스라엘과 스페인에 동기식 3세대(G)폰을 대량 수출한 것만 봐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우리의 휴대폰 기술력이 이제 유럽에서도 인정받게 됐다는 의미도 있지만 폐쇄적인 유럽시장을 뚫었다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하지만 휴대폰 시장 상황을 낙관만 하기엔 이르다. 저가품 시장의 경우 이미 중국산의 맹렬한 추격으로 경쟁력을 상실한 지 오래고 중고가품 시장에서 겨우 체면치레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폰 핵심기술을 많이 확보하고 있는 삼성전자 등 메이저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중소업체는 악전고투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휴대폰의 첨단화로 핵심부품을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원가 부담으로 인한 경영 압박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통신·방송 융합시대를 맞아 휴대폰 기술 전쟁도 예측하기 어려울 정도로 뜨거워지고 있다. 휴대폰 빅3가 R&D 투자를 대폭 늘린 것도 기술 경쟁에서 밀려서는 안 되겠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3G폰DMB폰·메가픽셀폰 등 중고가 제품에 대한 R&D를 강화하겠다는 것만 봐고 그렇다. 여기에는 이제 가격경쟁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뜻도 담겨 있다고 본다.

 그동안 우리는 휴대폰의 일부 성능 개선이나 디자인에만 신경을 썼지 원가 절감과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원천기술 개발은 등한히 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이들 빅3가 복합멀티미디어기능을 가진 단말기 플랫폼 모델·차세대 유저인터페이스(UI) 등 고부가가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을 비롯, 첨단 컨버전스 단말기 개발에 핵심 역량을 집중하기로 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노키아·모토로라 등 글로벌 기업들은 차세대폰 개발을 위해 매출의 10∼15%를 R&D비로 투자하고 있다고 한다. 차세대폰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의지에서다. 이들 선진기업에 비해 우리 기업들의 R&D 투자는 아직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휴대폰 빅3가 이들과의 기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R&D 투자를 늘려나가야 할 것이다. 기술 투자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는 게 우리가 시장에서 배운 냉혹한 현실이다. DTV와 위성DMB의 악몽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정부도 통·방 융합 법안 교통정리 등 현안을 서둘러 처리, 업계의 개발 의욕을 북돋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휴대폰 빅3의 야심 찬 R&D 투자가 휴대폰과 관련한 로열티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원천기술 확보와 소프트웨어 기술 향상에 기폭제가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