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올 상반기 국내 벤처산업은 침체를 면치 못했으나 하반기 들어 정부가 벤처 육성을 위한 지원을 약속하면서 활기를 되찾고 있다. 사진은 지난 10월 4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렸던 ‘벤처코리아 2004’ 개막식 모습. 이날 개막식에서 장흥순 벤처기업협회장이 ‘다시 벤처다!’라는 슬로건을 외치며, 민관이 벤처산업 활성화에 함께 나설 것을 촉구했다.
올해 벤처산업은 ‘냉탕’과 ‘온탕’을 오가며 반전을 거듭한 가운데 ‘벤처 재도약’을 위한 한 가닥 희망의 불씨를 지핀 한 해였다.
정부 주도의 벤처 육성 정책은 2001년 이래 위축 일변도였고, 올해 5월에는 프라이머리 대출채권담보부증권(P-CBO) 만기가 도래해 ‘벤처 대란설’로 이어지는 등 백척간두의 위기를 맞았다. 그러나 하반기에 이른바 ‘7·7(7월 7일) 선언’으로 불리는, 재정경제부와 산업자원부 등 범부처로 구성된 정부의 ‘중소기업 종합 대책 방안’이 나오면서 재도약을 위한 희망의 물꼬를 텄다.
경기침체 돌파구의 마지막 승부수로 ‘벤처’를 선택한 정부는 올 연말 △벤처 시장기반 구축 △벤처캐피털 투자 활성화 △민간 자율역량 강화 등을 주요 골자로 한 ‘신벤처 정책안’을 발표한다. 이는 내년도 경기를 암울하게 보는 일반 중소기업과는 달리 벤처기업들에 한줄기 희망을 던져주고 있다.
◇벤처업계, ‘나락 속 희망을 보다’=올 상반기 벤처산업은 암울 그 자체였다. 벤처업계는 참여정부가 혹시 다시 벤처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졌지만 ‘역시나’로 확인되면서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는 지난 5월 기술신용보증기금의 P-CBO 만기 도래와 함께 ‘벤처대란설’ 확산으로 정점에 달했다. 비록 정부가 디폴트(채무불이행) 업체를 제외한 업체 대부분의 만기를 연장함으로써 가까스로 상황을 진정시켰지만 벤처대란설에 대한 일시적 연기 조치로만 받아들여졌다.
이 같은 분위기는 대통령 비서실 산업정책비서관 출신인 김성진 중기청장이 7월 취임 후 본지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신벤처 정책 추진’을 언급하면서 급반전됐다. 이어 11월 초 이헌재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을 비롯해 이헌재 산자부 장관, 진대제 정통부 장관 등 경제 관련 부처별 수장들이 직접 나서 벤처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벤처산업을 육성하는 데 강한 의지를 표명하기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올해 벤처업체 수가 지난해보다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7702개에 머물렀던 벤처기업은 올 10월 말 현재 8776개로 늘어나 ‘벤처산업’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벤처캐피털, 개점 휴업 속출=벤처캐피털 업계는 그 어느때보다도 코스닥 시장의 침체로 자금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신규 투자 한계로 이어지는 등 악순환을 거듭했다. 정부가 기업 인수합병(M&A) 및 구조조정(CRC) 등 자금 회수를 위한 신규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했지만 기대에는 못 미쳤다.
당초 예상했던 조합(펀드) 결성도 여의치 않았다. 벤처산업에 대한 불신으로 민간 투자가 뒤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벤처캐피털의 악순환은 투자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일부 될 성 부른 소수 업체에만 투자가 몰린 탓에 심각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초래하기도 했다. 하지만 벤처캐피털 업계도 정부의 ‘벤처 부활론’에 힘입어 하반기 들어서는 새로움 희망을 갖기 시작했다. 벤처 부활론 대두는 용이한 자금 회수와 함께 정부의 벤처 지원도 직접 지원 방식에서 탈피해 투자 업계를 통한 간접 지원 방식으로 전환할 것이란 기대감에서 나온 것이다.
정부의 1조원 모태 펀드 조성 방침에 대해서도 업계에서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벤처캐피털 업계의 이미지 자정 움직임도 잇따르고 있다. 자금 투자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투자공시제도’를 도입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신선미·김준배기자@전자신문, smshim·jo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004년 월별 벤처기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