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처음 연구개발(R&D) 특구로 지정된 대덕R&D특구를 10년 안에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집적지)로 육성키로 한 것은 반가운 일이다.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대덕지역을 △첨단기술기업 3000개 △외국R&D센터 20개 △연간 기술료 수입 5000억원 △매출액 30조원 △나스닥 상장 기업 20개를 보유하는 연구 및 경제의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31일 노무현 대통령을 비롯해 오명 과기부총리 등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덕에서 ‘R&D특구 비전선포식’을 갖고 대덕특구를 혁신 클러스터로 적극 육성할 것을 다짐했다.
기술경쟁시대에 정부가 대덕특구에 대한 확고한 비전을 갖고 구체적인 육성 방안을 제시한 것은 대단히 의미 있는 일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대덕R&D특구 비전 선포식’에서 “간판(특구)만 새로 다는 것이 아니라 명실상부한 혁신클러스터의 성공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노 대통령은 이어 “특구 육성계획이 수립됐다고 해서 성공이 저절로 따라오는 것은 아니며 산·학·연이 ‘혁신 동반자’로서 협력하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우리는 정부가 밝힌 것처럼 10년 안에 대덕특구가 초일류 혁신 클로스터로 육성되고 이를 통해 한국의 미래를 선도하는 성장동력의 전진기지로 재도약하기를 바란다.
잘 아는 것처럼 대덕특구는 지난 30여년 간 우리 과학기술의 중추적 R&D 기능을 담당해 왔고 국가 기술개발과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다. 지금도 첨단기술 기업 824개, 외국 연구기관 2개, 기술료 수입 518억원, 매출액 3조6000억원에 달하고 있다. 최근만 해도 휴대인터넷 기술을 대덕 연구단지에서 개발하는 등 IT분야의 R&D 성과는 대단하다. 이에 앞서 우리가 세계에 자랑하는 CDMA 기술도 대덕연구단지가 개발해 우리 휴대폰이 세계시장을 누비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대덕특구는 앞으로 기술개발, 인력양성, 경영능력, 마케팅 등에 관한 유기적인 지원이 이뤄지는 ‘벤처 생태계’를 조성해 글로벌 환경을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욱이 산·학·연 협동 교육체계를 통한 맞춤형 인력양성, 입주기업에 대한 전문경영 서비스 제공, 연구기관의 연구소기업 설립지원 등도 추진키로 한 것 등은 기대를 갖게 하는 일이다.
우리는 정부의 이번 계획이 일정대로 차질없이 추진돼야 한다고 본다. 아무리 좋은 계획도 재정이 뒷받침되지 못하면 탁상공론이 될 수 있다. 정부 구상대로만 된다면 대덕특구는 그야말로 세계적인 연구단지로, 성장동력의 전진기지로서 조금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우리가 기술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려면 우리의 강점인 IT기술을 바탕으로 BT·NT·CT 등과 함께 IT839 전략 등을 알차게 추진해 나가야 한다. 대덕특구가 이런 국가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초일류 혁신클러스터 육성에 과기정책을 집중해야 한다. 또 이곳에서 개발된 각종 R&D의 결과물인 기술은 기업에 이전해 상업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 창업시 세제 혜택 등의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특구 지정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제 시작이다. 이곳에 있는 사람들이 오직 R&D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것이다. 대덕특구가 신성장 동력의 산실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부와 대전시, 과학 산업계가 각자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