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DMB 활성화 이슈점검](3.끝)6자+α 협력이 관건

‘KBS, MBC, SBS, 방송위, SKT, KTF, LGT, 정통부, 삼성전자, LG전자...’

통신·방송 융합이라는 새 산업군 태동과 함께 메이저 역할을 할 사업자·제조사·정부부처다. 그런데 이들은 마주앉은 협상 테이블에서 ‘금성’과 ‘화성’의 언어를 쓴다. 방송측은 ‘어디까지나 방송이란 공익성을 전제로 한 논의’를 설명하고, 통신측은 ‘비즈니스를 하는데 무엇을 주고 받아야하는 지’를 이야기한다. 양측 모두 서로를 이해할 수 없다고 하소연한다.

지상파DMB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말 ‘KBS-MBC-SBS-EBS-KT-KTF-LGT’의 7자 제휴를 맺었다. 그러나 유료화 논의가 벽에 부닥치자 3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이렇다할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지상파DMB사업자의 고위관계자는 “모두들 한걸음씩 양보하고 협상에선 한걸음 다가서야, 지상파DMB의 난관이 해결될 것”이라고 주문한다.

우선 6개 지상파DMB사업자들이 중계망 인프라를 책임진다는 전제다. 구체적인 구축 비용을 산출해, 지상파DMB사업자들이 최대한 책임질 수 있는 선을 제시해야한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상파 3사 각 100억원, 비지상파 3사 60억∼80억원을 제시한다. 이 정도면 수도권 음영지역 중, 지하철과 대형빌딩까지는 자력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

이통사의 경우 SKT와 KTF·LGT가 다른 입장이다. 위성DMB사업자 티유미디어의 대주주인 SKT는 지상파DMB 직접 지원이 어려운 반면, KTF와 LGT는 지상파DMB에서 배타적인 권한 확보를 노렸다. KTF·LGT가 먼저 중계망과 단말기 보급에 노력하고 두 회사에게만 뭔가 상응하는 대가를 주는 게 대안일 수 있다. 최근 KTF·LGT가 수신제한시스템(CAS)나 디지털저작권관리(DRM)솔루션의 도입 목소리를 내는 이유도 여기 있다.

그렇지만 지상파방송사의 관계자는 “이통사가 카메라폰, MP3폰 등을 마케팅할 때 유료여서 그리 했나”라고 반문해 아직 이통사와의 뚜렷한 시각차를 내보였다.

방송위는 지상파DMB의 수익 모델을 고민할 때다. 지상파DMB사업자 관계자는 “지상파DMB를 지상파방송으로 정의해 광고제도를 규제해선 안되며, 모바일방송으로 정의해 중간광고를 포함한 광고총량제 도입을 고려해야한다”고 말했다.

정통부는 서비스 전국화를 앞당길 수 있도록 주파수 확보에 노력해야 한다.

정부가 ‘공적사업 명분’을 도시철도공사, 지하철공사 등에 주고 중계망 점유료 등을 저렴하게 제공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사업자들은 지상파DMB를 재난방송으로 규정해 측면 지원해줄 것을 주문했다.

지상파DMB의 고위관계자는 “지상파DMB 활성화에 따른 가장 큰 수혜자인 제조사들도 직접 팔걷고 나서야한다”고 말했다. 사업자와 단말기제조사, 정통부와 방송위가 참여하는 지상파DMB공사 설립이나 펀드 조성 의견도 나왔다. 공사를 통해 보편적 서비스인 지상파DMB 중계망과 단말기 유통을 촉진시킨다는 방안이다.

한 관계자는 “결국 통신업계와 방송업계가 한 자리에 모여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면 지상파DMB의 걸림돌인 중계망, 단말기 유통, 콘텐츠, 수익모델 등의 현안을 풀 수 있다”고 말했다.

6개 지상파DMB사업자는 다음주에 첫 회의를 열고 현안 해결에 머리를 맞댈 예정이다. ‘6자+α 협력’의 첫걸음을 내딛는 셈이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