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 하반기, 산업자원부는 e러닝·e헬스 산업화에 적극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2003년 10월 국내에서 열린 ‘아·태정상회의(ASEM) 전자상거래 콘퍼런스’에서 e러닝과 e헬스가 핵심 이슈로 부상한 것이 계기였다. 산자부는 우리나라 e비즈니스 인프라를 고려해 볼 때 e러닝과 e헬스의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당시 산자부의 이 같은 움직임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였던 부처는 교육인적자원부와 보건복지부다. 누가 뭐래도 e러닝과 e헬스의 주무부처이기 때문이다.
두 부처는 산자부의 움직임에 예의주시하며 또한 직간접적으로 ‘남의 영역에 왜 관심을 갖느냐’는 의사도 표명했다.
그리고 1년여가 지난 지금, e러닝 산업은 변해도 너무 많이 변했다.
‘e러닝 산업 발전법’이 제정된 것도 요인이겠지만 산업화에 소극적인 부처로 알려져 온 교육부가 e러닝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며 지원에 나섰기 때문이다.
지난 14일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폐막한 ‘2005 교육·인적자원혁신박람회(에듀엑스포 2005)’는 이를 잘 말해 준다. 교육부 주최로 열린 이 행사에는 e러닝 페스티벌을 비롯해 e러닝 종합시상식, e러닝 우수기업 콘테스트 등 e러닝 관련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졌다. 교육부는 또한 선마이크로시스템스·애플 등 외국 글로벌 IT업체의 투자유치에 성공했으며 현재는 아·태경제협력체(APEC) e러닝 센터 유치도 추진중이다.
교육부가 이처럼 발빠르게 움직이는 것과는 달리 복지부의 움직임은 너무 더디다. 작년 2월 산하 보건산업진흥원에 e헬스팀을 만들고, 자체적으로도 올 3월 e헬스 산업을 담당할 의료서비스산업 육성팀을 구성했다. 하지만 팀 조직 이외의 구체적 움직임은 안 보인다. 복지부 관계자는 “(e헬스 사업과 관련해) 확정된 것은 없으며 공개할 내용도 없다”고 말했다.
‘의료서비스의 정보화’라는 측면에서 복지부가 e헬스에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e헬스를 통해 인명을 구하는 것은 물론이고 복지 개선 및 수출산업으로의 육성 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지부’의 팔짱 낀 대응은 부처의 이름에도 걸맞지 않아 보인다.
경제과학부·김준배기자@전자신문, j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