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로텔레콤 노조가 파업을 결의했다. 회사 측이 26일 300여명에 대한 구조조정 계획을 통보한 데 따른 것이다. 경영진과 대주주(외자)는 회사 형편상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노조는 회사 측이 대화도 없이 ‘구조조정’부터 들고 나온 데 분노했다. 하나로텔레콤 가입자들도 서서히 회사 안정성에 불안감을 갖기 시작했다. 얼마 전 주총에서 선임된 신임 대표이사는 사장이 아닌 부사장 직함에 머물렀다. 대주주의 견제가 있었다는 소문이다.
분명한 것은 없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지속발전이 가능한 기업으로서의 하나로텔레콤은 분명 흔들리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같은 결과는 대부분 경영진과 대주주가 자초했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다. ‘KT, 파워콤과 싸워보자’는 의지는 오간 데 없이 갑자기 대표이사 사장이 사임한 데 이어 명예퇴직, 구조조정 등 대량해고 카드를 들고 나왔다.
통신사업자는 품질과 서비스로 시장에서 이용자들에게 평가받는 것이 업(業)의 개념이다. 그러나 하나로텔레콤 대주주들은 조직 슬림화가 유일한 ‘목적’인 듯한 모습을 보여왔다. 직원들은 고통분담을 회사 측에 제시했지만 회사 측은 직원들에게 명예퇴직을 공지했다. 언론과 증권가에는 하나로텔레콤 대주주들이 LG그룹, SK텔레콤, MSO 등의 대자본에 구애를 하고 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경영 정상화와 비전 제시 없는 대량해고, 인수합병은 과연 무엇을(누구를) 위한 것인지 묻고 싶다.
주무 부처인 정통부도 하나로텔레콤의 경영 위기에 자유로울 수 없다. 하나로텔레콤의 탄생은 규제기관인 정통부 정책 의지의 산물이었다. 또 하나로텔레콤이 KT와 공정경쟁하기 위해 도입한 시내전화 번호이동성, 가입자선로 공동활용(LLU) 등은 현재 실효성을 의심받고 있다. 하나로텔레콤이 아무리 생존을 위해 발버둥쳐 봐야 지금 상태로는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나로텔레콤 경영 위기는 법은 있지만 시대에 뒤떨어진, 사업자가 이용자보다 규제기관의 눈이 더 무서운 한국통신시장의 기형성을 증명하는 사례임이 분명하다. IT산업부·손재권기자@전자신문, gj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