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스포럼]`지상파DMB`성공 조건

[리더스포럼]`지상파DMB`성공 조건

최근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가 ‘디지털 컨버전스’ ‘유비쿼터스’다. 일반인에게 개념적·관념적 수준에 머물고 있던 이들 용어가 아마도 병술년 새해에는 생활 깊숙한 곳에 자리잡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심에는 지상파DMB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DMB는 방송과 무선통신의 컨버전스를 알리는 신호탄이자 이를 더욱 가속화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다. 방송은 매스미디어의 개념으로, 무선통신은 개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발전해 왔다. DMB는 이처럼 다른 길을 걸어온 방송과 통신의 진화방향을 동일한 지점으로 향하게 하는 진정한 의미의 디지털 컨버전스인 것이다.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한 모임에서 지상파DMB에 대해 “치열한 논리싸움이 옥동자를 낳았다”고 표현했을 정도로 정부의 정책지원과 기업이 만들어낸 작품이다.

 DMB는 앞으로 위성DMB와 지상파DMB로 시장이 양분될 것이지만 현 시점에서 공중파 방송이 재송신되는 지상파DMB가 매력적일 것이라는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지상파DMB가 시장에서 꽃을 피우고, 소비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업이 맡은 책임이 막중하다. 하지만 기업의 책임과 함께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는 남아 있다.

 첫째, 지상파DMB의 품질(quality)이 보장돼야 한다. 기존 방송의 영역에서는 프로그램을 제작해 방송전파를 송출하기만 하면 방송사의 역할은 끝났다. 하지만 지상파DMB는 이동성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과 마찬가지로 언제 어디서나 방송을 볼 수 있어야 한다. 품질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비스가 지속된다면 서비스 만족도는 떨어지고 불만 고객들은 이동통신사의 고객센터로 불만콜을 증가시켜 결국 이동통신사의 서비스 비용을 늘리는 결과만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방송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져 시청자들이 외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송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중계기 투자 등 품질확보가 최우선돼야 한다.

 둘째, 지상파DMB만의 특화된 콘텐츠가 개발돼야 한다. 지상파DMB는 공중파 방송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경쟁력을 지닌다.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개인 미디어로서의 특성을 살린 차별적인 콘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전국 서비스가 조기에 실현돼야 한다. 지역적 한계를 갖는 것은 마케팅의 제약뿐만 아니라 파급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내년에는 지상파DMB가 조속히 전국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선결과제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이통사의 확실한 수익모델이 정립돼 돈이 흐르는 구조가 만들어져야 한다. 이는 공중파 방송의 공익성이라는 측면도 있지만 신규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시장원리를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무료서비스가 고객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소비자 편익증진 및 시장확대에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시장에서 돈이 돌고 이러한 돈의 흐름이 있어야만 재투자가 되어 서비스의 수준이 높아지며 시장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방송의 공익성=무료’라는 명분이 오히려 산업 활성화 및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것은 차세대 먹을거리로서의 지상파DMB가 제대로 꽃을 피우지도 못하고 시들어 버리는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할 수도 있다.

 해외 이통사업자들도 국내 지상파DMB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통사의 명확한 수익모델 부재로 인해 국내 지상파DMB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각종 연구기관이 쏟아내고 있는 단말기 및 기술 수출 전망도 단지 장밋빛 환상에 그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상파DMB가 지속가능한 미디어로서 존재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 확보, 서비스의 조기전국화, 차별화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통사의 확실한 수익모델이 정립돼야 한다. 이것은 방·통융합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방송 분야의 시장원리 확대를 통한 경쟁체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의미다. 방송의 공공성·공익성을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이통사들이 적극적으로 유통에 참여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있기를 기대한다.

◆남용 LG텔레콤 사장 ynam@lgte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