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무료 음악다운로드 사이트와 P2P 사이트들이 유료화를 선언하면서 정액제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여전히 음악·영화 등의 콘텐츠들을 무료로 다운로드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P2P사이트들이 존재하지만 어디까지나 불법적인 행위이기 때문에 이제는 비용을 지급하고서 콘텐츠를 구매하려는 네티즌이 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주요 포털들이 제공하는 정액제 콘텐츠 서비스가 저렴하게 돈을 지불하고 콘텐츠를 이용하려는 이들에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액제 콘텐츠 서비스는 미리 정한 비용을 지불한 뒤 일정기간 또는 일정량을 사용하는 것. 정액제는 개별 콘텐츠마다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고, 풍부하고 다양한 양질의 서비스를 일정기간 또는 패키지 형태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네티즌들로부터 환영 받고 있다.
하나포스닷컴(http://www.hanafos.com)은 초고속인터넷 하나포스 고객을 대상으로 3만 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만화를 하루 2000원, 월 9000원에 무제한으로 제공한다. 또 △자료실 서비스인 큐빅(월정액 9900원) △영화 VOD 프리미엄 유료 서비스(월정액 8000원) △하나포스 게임(월정액 4000원) 등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네이버(http://www.naver.com)는 ‘네이버 뮤직’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와 블로그를 개성 있게 꾸밀 수 있는 뮤직아이템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 뮤직은 하루 1백 원이라는 금액에 5십만 곡의 음악을 마음껏 들을 수 있으며 30일에 3000원 정액제로 서비스하고 있다.
야후코리아(http://www.yahoo.co.kr)는 스트리밍 서비스 ‘야후 비트박스’를 검색·뉴스·메일 서비스와 연계해 월정액 3000원에 음악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야후 프리미엄 VOD 월정액관은 4000원으로 DVD급 화질의 국내외 유명 영화들을 시간과 횟수에 상관없이 마음껏 볼 수 있다.
엠파스(http://www.empas.com)는 2주 4000원, 1개월 6000원의 정액제 고화질 VOD 서비스와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월정액 5000원의 ‘게임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밖에 파란닷컴(http://www.paran.com)도 월 6000원의 최신 영화 VOD서비스를, 네이트닷컴(http://www.nate.com)은 월정액 9000원의 무제한 영화, 애니메이션 감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김종윤기자@전자신문, jy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