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케이블發 `미디어 혁명`](하)디지털방송 정책 성공을 위한 조건

박원세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부회장, 오광성 SO협의회장, 강대관 SO협의회 부회장(왼쪽부터) 등 SO협의회 회원사 대표들이 지난 21일 케이블TV 디지털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박원세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부회장, 오광성 SO협의회장, 강대관 SO협의회 부회장(왼쪽부터) 등 SO협의회 회원사 대표들이 지난 21일 케이블TV 디지털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오는 2010년까지 고선명(HD)으로 디지털 전환을 완료하겠다는 케이블TV 방송국들의 선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과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실제로 외국과 우리나라 지상파 방송의 사례를 살펴보면 디지털 전환이 얼마나 어려운지 알 수 있다. 지상파의 경우 당초 정부는 2010년 디지털TV 보급률 95%를 전제로 아날로그 방송 종료라는 계획을 세웠지만, 현재 추세대로라면 보급률은 52%에 그칠 전망이다. 때문에 정통부는 올 하반기에 아날로그 방송의 구체적인 중단 시기와 모든 수상기에 디지털 튜너 내장을 의무화하는 내용을 포함한 디지털방송 특별법을 제정할 계획이다.

미국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전환 실적이 예상보다 느려지자 85%의 보급률 조항을 철폐하고, 2009년 2월 아날로그 방송 종료를 못박았다. 이를 위해선 아날로그 수상기 보급 가구에 대한 저가형 셋톱박스 보급 계획 등이 뒤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번 SO협의회의 선언이 공수표가 되지 않기 위해선 업계 공동의 강력한 추진력과 정부 지원이 함께 뒷받침돼야 한다.

◇빅4 MSO의 추진전략=티브로드·씨앤앰커뮤니케이션·CJ케이블넷·HCN 등 이른바 4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들은 이번 결정을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사실 그동안 케이블TV 업계가 공동으로 힘을 모아본 경험이 많지 않았다. 그래서 이번 결정은 이례적이며 강한 의지의 표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특히 케이블TV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4대 MSO의 역할은 중요하다. 오광성 SO협의회장은 “디지털 전환 계획 발표와 동시에 MSO를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구성된 협의체에는 주요 MSO사업자, DMC사업자 등이 포함됐다. 협의체는 기술과 마케팅 분야로 나뉘어 구성됐으며, 이를 통합하는 기획단도 조직했다.

◇정부 지원도 절실=업계 노력뿐 아니라 정부의 효율적인 지원책도 필요하다.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분야로 투자 지원이 있다.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송출시설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업계는 방송발전기금 등으로 지원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또 조세감면도 절실하다. 당장 지상파와 비교해봐도 케이블사업자들은 차별을 받고 있다. 지상파의 경우 디지털 전환을 위해 수입하는 장비에 대해서는 수입관세를 감면해주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 사업자들은 아무런 혜택도 받지 못하고 있다.

채널 상품 수를 3개 이내로 축소하는 등의 이용약관 규제 완화와 공익채널 관련 규정의 완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는 또 셋톱박스에 케이블카드를 의무장착하도록 한 규정도 선택으로 유예해 줄 것을 정통부에 건의했다. 케이블카드 분리 의무화로 대당 5만원 가량의 셋톱박스 가격 인상요인이 발생하고, 발열 및 잦은 오류로 유지보수의 문제점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특히 향후 무료로 보급할 셋톱박스의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도 케이블카드 분리가 필수적이다.

오광성 회장은 “업계의 활동이 힘을 받기 위해서는 정책지원이 필요한 만큼 내달 중 SO협의회 임원회의 결정을 거쳐 대정부 건의안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권건호기자@전자신문, wingh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