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무원단 출범과 함께 정보통신부 내 개방형 및 공모 직위가 확정됨에 따라 이들 자리에 대한 정보통신업계와 관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고위공무원단 출범과 함께 정보통신부 내 개방형 및 공모 직위가 확정됨에 따라 이들 자리에 정보통신 업계와 관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9일 중앙인사위원회에 따르면 정통부는 일단 부처 자율인사 직위와 개방형 직위 대상이 50 대 50으로 확정됐다. 개방형 직위 가운데 부처 안팎 공무원과 민간인을 대상으로 공모하는 직위는 20%, 부처 간 공모직위는 30%에 이른다. 따라서 부처 내 자율인사로 전체의 절반가량을 임명한다면 나머지 절반을 놓고 정통부 공무원, 타부처 공무원, 민간인이 경합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다.
우선 정통부의 개방형 및 공모직위는 30개의 고위공무원단 직위에서 3분의 1이 넘는 12자리. 이 가운데 개방형 직위는 5자리다. 기존의 우정사업본부장·정보보호기획단장·전파연구소장·우편사업단장에 이어 이번에 감사관 자리가 개방형 직위로 추가됐다.
또 부처 내외 공모 직위는 7자리로 확정됐다. 전파방송기획단장·정보통신협력본부장·중앙전파관리소장·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장·경북체신청장·전북체신청장·강원체신청장이 대상이다.
이에 따라 이달부터 고위공무원단이 출범한 이상 공석이 생기면 최우선적으로 개방형 및 공모 직위를 충원해야 하므로 대내외 경쟁이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즉, 개방형 및 공모 직위가 아닌 본부의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인사가 결원이 생기더라도 현직 개방형 및 공모직위 관료를 그쪽으로 보내고 개방형 및 공모직위 자리를 만들어 인사를 해야 한다는 의미다.
정통부 관계자는 “정통부 전체 고위공무원단 자리는 30개지만 파견·주재원 등을 포함한 고위공무원단 해당 관료는 45명에 이르는만큼 경쟁이 예상보다 빨리 가시화될 것”이라면서 “이제 관료사회도 일단 들어서면 자리가 보장되던 시대가 끝나고 경쟁으로 능력을 평가받는 시대로 들어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