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참여 컴퓨터 교실사업 `안착`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민간참여 컴퓨터교실 사업 실적

  지난 96년부터 10년간 초·중등학교 등을 대상으로 추진된 ‘민간참여 컴퓨터교실 사업’을 통해 컴퓨터 교육을 받은 학생수가 총 180만 여명에 달해 성공적인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 모델로 자리잡은 것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초기 투자비 증대에 따른 참여 기업의 수익성 악화와 정부의 체계적인 관리 미흡 등은 개선해야 할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내용은 교육인적자원부 산하 한국교육정보진흥협회(KEFA 회장 박춘구)가 최근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김영기 교수팀에 의뢰해 실시한 ‘민간참여 컴퓨터교실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방과후 학교 정책 방향 연구’ 결과 나타났다.

 ‘민간참여 컴퓨터교실 사업’은 지난 96년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정보화 기반 조기 구축 정책에 의해 시작됐으며 관련 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보고서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업 운영 형태는 민간 기업과 학교가 계약을 체결하면 기업은 컴퓨터 교실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 투자, 교육·유지보수 등을 책임지고 학교는 수강료 납입 대행과 방과 후 학교 시설 개방 등을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전국 6100여개 초등학교 중 1333개 학교가 민간참여에 의한 컴퓨터 교실을 운영 중이며 중소기업을 비롯한 500여개 업체가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약 1300여개 학교에 서비스를 제공 중인 상위 4개사의 연도별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 97년부터 올해 6월말까지 운영 학교 수는 총 6250개, 교육생 수는 총 176만 8750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도별 교육생 수도 해마다 증가해 97년 3만 6400명에 불과했던 교육생 수는 2006년 6월말 현재 35만 7500명으로 열배 가량 증가했다.

 연구팀은 또 민간참여 컴퓨터 교실의 수강료는 평균 2만 6000원 수준으로 사설 컴퓨터 학원의 10만∼15만원보다 저렴해 사교육비를 절감시키고 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 공교육 정상화 등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전국 학생·학부모·교사 9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교육 만족도에 대해 71.4%가 ‘매우 만족’ 또는 ‘만족’으로 답했다.

 그러나 보고서에 의하면 참여 기업들은 △초기 시설 투자비 증대 △학교 대상 영업의 어려움 △정부의 체계적 관리 부재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적절한 시설 투자 기준안 마련 △업체간 과당 경쟁과 학교의 무조건적인 투자비 증대 요구에 대한 정부의 조정 △정부의 투자비 보조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