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형 민간투자사업인 BTL(Build Transfer Lease)이 통신업계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떠올랐다. BTL은 기존 ‘수익형 민자사업(BTO)’과 달리 민간이 건설한 시설을 정부가 직접 임대료를 내고 사용하는 방식이다. 정부는 단기간에 필요한 막대한 사업비 부담을 줄일 수 있고 기업은 장기간 안정적인 수익원을 보장받는다.
오는 2009년까지 총 384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국가 통합지휘무선통신망(TRS) 구축은 BTL 방식으로 진행된다. KT(대표 남중수)가 올해 서울·경기 지역을 대상으로 한 TRS구축 1단계 사업에 뛰어든 것도 내년에 발주될 2000억원 규모 BTL사업을 겨냥한 사전 포석이다.
기획예산처는 내년부터 수도권지역에 시범시행중인 통합지휘무선통신망의 전국 확대와 함께 전방 지역에 노후화된 동케이블을 광케이블로 교체하는 군 정보통신망 구축 사업을 BTL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방 초소까지 광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군 정보통신망 BTL사업은 2000억원에서 최대 4000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여 내년도 국내 네트워크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현재 ‘국방부 인터넷 장비시설 구축사업’을 진행중인 LG데이콤, 시스코는 물론 KT, 알카텔-루슨트, 다산네트워크 등도 이 사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유비쿼터스 도시(u-시티) 구현에 필수적인 ‘도시통합정보센터(일명 통합관제센터)’ 구축·운영도 BTL 방식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u시티 사업을 총괄하는 행정자치부가 도시 통합관제센터에 BTL 방식 도입을 검토중이다. 도시 공통서비스는 국비로, 나머지 시스템 운용·관리 부문은 지방비로 충당하고 BTL을 통해 수익사업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통신업체 관계자는 “통신망 구축과 교체 및 운영 등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국가인프라 사업에는 앞으로 BTL 방식이 일반화될 것”이라며 “KT가 지난달 1000억원을 출자해 여신전문 자회사를 설립한 것도 대규모 프로젝트 파이낸싱이 필요한 BTL사업을 염두에 둔 조치”라고 말했다.
주상돈기자@전자신문, sdjoo@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BTO와 BTL 방식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