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과학자 밀어주기 연구개발자들 "너무해"

과학기술부에서 교육인적자원부로 이어지는 ‘스타 과학자 밀어주기’가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일선 연구개발자의 반목과 질시를 부르고 있다. 특히 ‘큰 상에 고액 연구비를 끼워주는 쏠림 현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고조되는 추세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스타 과학자의 능력과 성과를 폄하하는 건 아니지만 과기부의 ‘젊은 과학자상’과 ‘한국과학상’을 받은 뒤 교육부로 바통이 넘어가 ‘국가 석학’으로 뽑히는 게 공식화되는 것 같다”며 “중간에 한국과학문화재단의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으로 뽑히거나 다시 과기부가 선발하는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 ‘국가과학자’ 등에 등극하면 그야말로 금상첨화”라고 말했다. 그는 또 “상만 주는 게 아니라 많은 연구비를 함께 주니 정부 장학생인 셈”이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H 교수는 지난 99년 기하학 분야에서 15년간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던 ‘라자스펠트(Lazarsfeld) 예상’을 증명해 주목받은 이래로 한국과학상(2001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2006년 4월), 국가 석학지원 대상자(2006년 12월)로 승승장구했다. 지난 8월에는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자’로 뽑혔다.

 K 교수도 암 억제단백질, 혈관생성 상처치료 신물질, 새로운 염증유발 물질 등을 발견한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과학자상(2004년),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2006년)을 품에 안았다. 또 L 교수는 탄소나노튜브 연구성과로 올 1월과 8월 국가석학과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자’에 잇따라 선발됐다.

 젊은 과학자상에 5년간 매년 3000만원씩, 한국과학상에 5000만원,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에 3억원, 국가 석학에 최장 10년간 최대 20억원 등 이들에게 연구장려금도 몰린다. 국내 뇌과학 선두주자인 신희섭 KIST 신경과학센터장처럼 최고봉(국가과학자)에 오르면 최장 6년간 15억원씩 지원받는다. 국가지정연구실(NRL)사업과 같은 지원혜택은 거의 기본에 가깝다.

 또 다른 국책연구기관 관계자는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국가로부터 수백억원을 지원받았던 것에 비할 만큼 많은 액수는 아니고 주목할 연구성과를 내 분들이기는 하지만 너무 몰아주는 것은 경계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