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TPEG 혼란, 표준으로 풀어내야

 뉴미디어를 대표하는 지상파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산업이 난맥상에 빠졌다. 개국 1주년을 넘겼지만 방송 사업자들의 광고 매출은 자영업자 수준에도 못 미치는 월 평균 3000만원가량이다. 그나마 새 수익모델로 주목받았던 교통정보서비스(TPEG)는 표준 미비 및 비즈니스 모델 혼란으로 출발부터 암초를 만났다. 이미 일부 사업자가 상용서비스에 맞춰 단말기를 판매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정책 기준조차 없는 실정이다. 방송정책을 담당하는 방송위원회도 이 대목에선 비판을 면키 어렵다. 물론 혼란의 가장 큰 책임은 방송사업자에 있다.

 지상파DMB사업자들은 지난해부터 데이터방송 유료화를 논의했다. 핵심인 수신제한시스템(CAS) 표준 문제다. 그런데 1년이 지난 아직까지 상용 수준의 CAS 표준을 완성하지 못했다. 물론 복잡한 기술표준을 만드는 작업이다보니 기술 개발과 합의에 상당한 시일이 필요하다. 문제는 상당수 사업자가 딴죽걸기식 행태를 보여왔다는 점이다. 특정 사업자가 표준을 주도할라 치면 다른 방식을 제안하는 식이다. 이 행태가 반복되면서 표준 논의는 제자리 걸음을 면치 못했다. 한발 더 나아가 신규 서비스를 개발하려는 사업자들의 의욕을 꺾고 있다는 원성까지 나온다.

 지난 1년간의 표준 논의에도 불구하고 정작 가장 먼저 유료서비스를 개시한 KBS가 CAS를 배제한 채 단말선부담 방식을 택했다는 것은 지상파DMB 시장의 난맥상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사업자들의 혼선은 그대로 영세한 단말업체들의 혼란으로 이어졌다.

 일각에서는 사업자들이 정말 수익모델 부재로 어려움을 겪고 있느냐는 의문까지 제기한다. 말만 들으면 아주 심각한 위기인 듯한데 뻔히 보이는 탈출구를 바로 앞에 두고 여전히 자기 목소리만 고집하기 때문이다.

 사업자들이 가장 두려워해야 할 부분은 소비자의 인식이다. 유료화를 둘러싼 논란 속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다면 지상파DMB를 바라보는 일반인의 시각도 싸늘하게 식을 수밖에 없다. 한 번 식은 관심을 되살리려면 몇 배나 더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 이제라도 표준 제정에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김태훈기자·u미디어팀@전자신문, tae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