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정보시스템 감리의 새로운 원년이다. ‘정보시스템 도입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공식 적용되는 첫해이기 때문이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서 많은 변화가 예상됐고 실제로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정보시스템 감리 시장 크기가 자연 증가할 것이란 점은 고무적이다. 5억원 이상의 공공 부문 정보화 사업은 의무적으로 정보시스템 감리를 도입해야 함에 따라 발생하는 효과다. 또 자연스럽게 정보시스템 감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기존 SI 분야에 종사해 온 고급 기술자들의 호기심과 관심이 높다. 그러나 실제 정보시스템 감리 시장의 상황은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안정된 비즈니스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큰 산을 여러 번 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런 관점에서 정보시스템 감리업계가 풀어야 할 5대 과제를 생각해 보았다. 좀처럼 쉽지 않은 과제들이다. 그러나 시간을 두고 앞세우거니 뒤세우거니 하면서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우선 운영감리로의 확대를 들 수 있다. 현재는 대부분 발주된 SI사업에 대한 감리로 즉, 사업에 대한 진행감리다. 건설 부문의 감리와 유사한 일면이 있다. 감리법인 관점에서 보면 SI 본 사업의 3% 정도에 불과한 감리사업 수주를 위해 본 사업 수주 때와 비슷한 성격과 정도의 노력을 투여해야 하는 고충을 안고 있다. 더구나 노력에 비해 수주 확률은 그다지 높지도 않다.
그러나 운영감리 시대로 접어든다면 고정 고객을 확보하며 안정적 수입원을 얻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다. 회계법인의 정기적인 회계감사와 유사한 서비스가 된다. 이 시기의 도래는 IT의 성숙 과정상 필수적이다.
둘째는 책임감리로의 이행이다. 이것은 감리법인으로서는 큰 부담을 껴안는 일이 된다. 그러나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근본적으로 법제화와 책임의 문제는 표리의 관계를 갖는다. 감리를 비즈니스의 관점보다도 중요한 사회적 기능으로 본다면 감리법인과 감리인은 일종의 사명감을 진지하게 품고 있어야 한다. 책임감리는 노력과 비용의 증가를 수반한다.
셋째는 민간감리로의 확장이다. 현재의 감리는 공공 부문이 발주하는 사업으로 규정돼 있다. 감리가 사회적 기능으로 필요하다면 이것이 공공 부문에만 한정될 아무런 이유가 없다. 법적으로는 그렇다 하더라도 민간에서도 그 필요성을 당연히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민간 부문에서도 특히 금융 분야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사업은 반드시 대규모 프로젝트가 안고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성공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보장해 주는 수단으로서 감리가 크게 일조해야 한다. 이는 다른 어떤 컨설팅 기능에도 양보해서는 안 될 중요한 감리법인의 과업이 돼야 한다.
넷째는 감리비 현실화다. 일간지에서 정보시스템 감리사가 미래 유망 업종으로 선정됐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러나 업계에 깊숙이 들어와 보면 현실은 핑크빛이 아니다. 오히려 일반 SI사업 개발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감리비로 중차대한 감리를 수행해야 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정보시스템 감리는 성격상 건설감리와 다르게 감리라는 기능과 컨설팅의 기능을 겸할 수밖에 없다. 경영의 중요한 전략적 요소며 수단인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만큼 당연한 일이다. 이러한 고급 서비스를 위해 현재의 열악한 대가체계는 바뀌어야 마땅하다.
마지막으로 감리법인의 대형화다. 감리법인이 중소기업 범위를 근본적으로 크게 뛰어넘기는 쉽지 않다. 그러나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분야를 리드할 혜안을 가진 법인들은 힘(power)을 지녀야 하며, 궁극적으로 지대한 사회적 영향력(influence)을 가져야 한다.
큰 산을 다 넘는 데는 한 세대가 걸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행히 감리에는 정년이 없다.
◆곽용구 골든터치 사장 ivgotit@dreamw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