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축복이 검은 대륙, 아프리카만은 비켜가고 있다.”
케냐 등 일부 선도국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의 ‘탈 넷맹운동’이 확산되고 있지만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의 정보화는 미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부 서방 업체의 악덕 상혼과 이를 방조하는 정부 기관의 무능이 아프리카 정보화를 가로막는 가장 큰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본지 7월 9일·10일자 15면 참조
23일 뉴욕타임스(NYT)는 ‘르완다의 정보화 사업’을 사례로, 아프리카 정보화 사업의 험로를 현지 르포로 고발했다.
르완다 정부는 지난 2003년 미국 테라콤의 제안을 받고 이 업체에 자국 인터넷 시장의 독점사업권을 이양했다. 테라콤은 광케이블을 통해 학교와 정부기관은 물론, 일반 가정에까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저가에 공급하겠다고 약속했다. 폴 카가메 대통령도 나서 르완다 유일의 국영 통신업체인 르완다텔까지 테라콤에 넘겨줬다.
4년이 지난 지금, 르완다내 300개 각급 학교 중 30% 정도만이 테라콤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일반 가정의 인터넷 가입은 요원한 상태다. 결국 인구 800만명 중 1% 정도만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수준이다. 유선인터넷의 월 이용료는 90달러. 무선은 63달러다. 르완다의 1인당 국민소득이 한해 220달러인 것을 감안하면 살인적이다. 속도도 다이얼접속 수준으로 느리다.
사정이 이렇자 르완다 정부와 테라콤은 서로 책임을 미루고 있다. 알버트 부타르 르완다 정보통신장관은 “모든 이익은 테라콤이 다 챙기고 있다”며 “테라콤은 약속을 어겼다”고 비난했다.
여전히 르완다서 사업을 하고 있는 테라콤의 그레그 와이러 사장은 “예상못한 기술적 한계에 봉착했다”며 “결국 위성인터넷을 이용해야 할 상황인데, 역시 돈이 부족해 정부의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NYT는 이번 르완다 사태가 대다수 아프리카 국가서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대륙간 해저케이블을 통한 아프리카의 인터넷 접속 프로젝트는 이미 지난 2002년부터 추진돼왔다. 하지만 해당 국가들은 서구 업체들을 끌어들이며 이들에게 쉽게 자국의 통신시장 독점권을 넘겨줬다. 경쟁에 의한 시장 발전이 가로 막히고 접속망도 미국이나 영국을 경유, 결국 비싼 서비스 요금을 물어야만 하는 상황이다.
특히 이들 업체는 최근들어 인터넷보다는 부가수익을 훨씬 많이 뽑아낼 수 있는 ‘이동통신’ 사업에 더 열을 올리고 있다. 실제로 테라콤의 인터넷 가입자는 2만명인 반면, 이통 가입자는 3만∼4만에 달한다. 그 결과 인터넷망 등 국가 기간 인프라 확충은 갈수록 뒤로 밀려 르완다의 산업화 기틀은 제자리를 못잡고 있다.
러렌스 랜드웨버 미 위스콘신대 명예교수는 “아프리카 네트워크화의 부진은 단순히 서방세계와의 정보화 격차 확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며 “이는 산업화의 격차, 부의 격차, 교육의 격차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etnews.co.kr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아프리카대륙 인터넷 가입자 수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