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디 워’의 글로벌 마케팅

 심형래 감독의 ‘디 워(D-War)’가 1000만 관객을 향해 달리고 있다. 딸에게 감상을 물었더니 “재미있는데 뭔가 2% 부족해요”라고 한다. 신문이나 인터넷 매체의 평도 비슷한 것 같다. 컴퓨터 그래픽은 볼 만했는데 스토리·연출력·배우의 연기는 좀 부족했다는 이야기다.

 한 영화평론가와 네티즌의 논쟁도 화제가 돼 “내가 보기에는 재미있고 그 노력이 가상한데 왜 그리 폄하하느냐. 기존 충무로 영화계의 질시다”는 의견과 “아니다. 아무리 인기가 좋아도 말은 제대로 해야 한다. 그 줄거리가 말이 되느냐. 연출력은 그게 도대체 뭐냐. 집단의 힘으로 정당한 비평을 막지 마라”는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하지만 이 논쟁은 내가 보기에는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것 같다. 좋은 영화가 무엇인가에 가치관이 전혀 다른 양측이 논쟁을 한들,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힘들 게 자명하다. 그러나 양측이 주장하고 있는 내용 중 곧 판별이 날 것으로 보이는 중요한 문제가 하나 있다. 이 영화가 원래 계획했던 대로 미국시장과 나아가 세계시장에서 소기의 성공을 거둘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물론 이 문제에서도 “봐라. 미국에서도 보기 좋게 성공할 거다”란 주장과 “그런 완성도로는 할리우드 영화와 견줘 안 된다”란 의견이 맞서고 있다.

 이건 ‘좋은 영화’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우리 영화산업의 앞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기 때문에 영화산업 전체의 시각에서도 주목해야 할 내용이다. 사실 영화의 완성도 문제는 이 영화가 미국 흥행에 성공한다면 그리 어렵지 않게 해결될 문제일 것 같다. 최근 국제영화제에서 자주 수상하고 있는 우리 영화산업의 저력을 본다면 ‘심형래 제작-야심만만한 신인 감독과 작가-더 상품성이 있는 국제적 배우’ 같은 팀 플레이의 형태로 완성도를 높여가는 것은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있다.

 진짜 어려운 문제는 주류시장인 미국에서 성공하고 세계적으로 상영될 수 있는 영화의 기획과 마케팅을 우리 영화계가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국내시장이긴 했지만 세계적으로 히트한 할리우드 영화를 녹아웃시켜버린 성공적인 상업영화를 만들어낸 국내 영화계가 이런 인적 자산을 갖추면 스크린쿼터 축소를 걱정해야 하는 내수산업에서 본격적인 수출산업으로 성장이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다음달부터 시작된다는 디 워의 미국 상영은 참으로 걱정되면서도 동시에 기대되는 실험이 아닐 수 없다. 디 워는 주류시장인 미국에서 팔릴 수 있는 흥행공식에 대입해 영화를 기획하고 컴퓨터 그래픽이라는 현대 영화산업의 혁신수단을 적극적으로 도입한 예이기 때문이다. 세계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영화는 발상부터 달라야 한다. 또 1000만명이 아니라 1억명이 볼 수 있는 영화가 되려면 마케팅 전략도 남달라야 한다. 디 워의 미국시장 도전은 한국영화 최초의 글로벌 마케팅 시도인만큼 걱정도 되고 그 귀추가 주목될 수밖에 없다.

 미래의 영화산업은 점점 첨단기술산업의 성격을 띠게 될 것이다. 영화산업의 마케팅은 당연히 글로벌한 시장 감각과 첨단산업의 이해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영화계도 첨단산업의 논리를 이해하고 세계적으로 먹혀들 영화를 기획·배급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갖춘 글로벌 첨단기술 마케터를 양성할 시점이 됐다.

 디 워의 성공은 영화 자체의 재미와 완성도에도 영향을 받지만 그들이 선택한 마케팅 채널의 능력과 상상력에 더 크게 영향을 받을 것 같다. 심형래씨가 감독과 제작사 사장 등 일인다역을 하다 보니 체계적 마케팅 전략을 세우기도 힘들었을 것이다. 파트너가 된 배급회사의 능력도 한계가 있을 테고 이제 시작이므로 한국에서의 흥행실적이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힘든 시점일 것이다.

 그렇지만 디 워가 어려움을 딛고 꽤 괜찮은 흥행실적을 올리길 기대한다. 만약 실패하더라도 그 경험을 소중히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세계시장에 한국영화를 지속적으로 소개할 수 있는 국제적 감각을 가진 전문 마케터가 양성되면 한국 영화산업 전체의 집단적 경험으로 남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오종훈 펄서스테크놀러지 사장·포스텍 교수 jhoh@puls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