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위기의 유료방송
(2)공정경쟁 구조 마련
(3)규제의 틀 개편
(4)콘텐츠업체는 동반자
(5)로드맵 새로 그리자
다채널시대를 이끌어온 유료방송업계가 지독한 몸살을 앓고 있다. IPTV와 같은 신규 미디어 등장에 따른 지배력 약화에다 MATV를 둘러싼 내부 갈등까지 겹쳤다. 가격 경쟁도 날로 심화해 위성DMB의 경우 거의 무료 방송에 근접할 정도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한 사업자 스스로 불러온 ‘부메랑’이다. ‘뉴미디어의 총아’라는 수사 외엔 유료 방송을 둘러싼 환경 개선엔 소홀한 정책 당국의 책임도 크다. 유료방송계의 위기를 어떻게 돌파해야 할 것인지. 미디어산업정책은 또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다섯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공시청안테나(MATV) 개방을 놓고 벌어진 케이블업계와 위성방송간 싸움은 지배력을 유지하려는 케이블업계와 이를 허물어보려는 위성방송의 힘겨루기다. 그러나 본질은 지상파 방송이라는 무료 방송의 기득권 유지 속에 유료 방송 시장이 제대로 크지 못하는 상황에서 경쟁이 심화했다는 점이다. 이 틀을 바꾸지 않고선 양 방송계의 충돌은 숙명처럼 지속될 전망이다. IPTV까지 가세하면 한정된 파이를 두고 유료방송업계가 더한 출혈 경쟁을 벌여야 한다.
◇유료방송이야, 무료방송이야?=국내 유료방송가입자는 총 1600만 가구에 달한다. 케이블TV만 해도 1400만에 이른다. 언뜻 보면 화려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혀를 찰 수 밖에 없다. 유료방송시장의 맹주로 불리지만 가입자당 월 매출 평규은 5달러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편에 속한다. KBS가 인상하려는 시청료 4000원과 거의 차이도 없는데도 비싸다고 더 낮추라는 게 시청자나 정부 당국의 주장이다. KBS는 아예 대놓고 유료방송을 안봐도 된다고 캠페인까지 벌인다.
위성DMB사업자인 티유미디어의 경우 가입자 확대를 위해 한시적이긴 했지만 단말기와 요금도 거의 공짜로 제공했다. 무료인 지상파DMB와 차이가 없다. 엄밀한 의미로 국내엔 유료방송이 없다시피하다.
◇기형적이고 형편없는 수익구조=유료방송은 시청자가 내는 수신료나 일부 광고료로 운영된다. 그러나 케이블TV 전체 매출 중 홈쇼핑 송출수수료가 20%, 초고속인터넷이 20%를 차지한다. 기형적인 구조다.
위성방송인 스카이라이프도 마찬가지다. 5000억의 누적적자를 기록할 정도로 경영 상태가 좋지 못하다. 현 가입자는 214만으로 겨우 손익을 맞출 정도이며 누적적자 해소를 위해 갈길이 멀다. 스카이라이프는 300만 가입자를 넘어서야 안정적인 경영이 가능하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디지털전환과 콘텐츠산업 육성 요원=유료방송계의 현 수익구조로는 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전환이나 콘텐츠 산업 육성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디지털전환을 위해 막대한 신규 투자를 필요한데 케이블TV업계로선 여력이 없다. 디지털전환이 유료방송업계의 새로운 기회보다는 붕괴를 재촉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다.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더욱 심각하다. 프로그램 광고료와 SO로부터 받는 수신료 수익이 미미해 지상파방송사와 일부 대기업계열을 제외하곤 대부분 PP가 이익을 내기 어렵다. 양질의 콘텐츠 생산은 커녕 생존이 불확실한 지경이다. 특히 한미FTA발효에 따라 5년후 미국 방송프로그램의 직접 진출이 가능해지면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국내 PP들은 도태될 수 밖에 없다.
◇무료방송과 함께 방송 정책을 새로 짜야=유료방송은 우리 방송산업 발전에 큰 힘이 돼 왔다. 특히 난시청 해소에 톡톡한 역할을 해왔다. 물론 지상파방송 시청 요구를 반영한 것일 뿐이라는 평가 절하도 있지만 어쨌든 공영방송도 하지 못한 난시청 문제 해결을 대신 해왔다.
케이블TV업계 한 관계자는 “지상파가 난시청 문제를 케이블TV를 통해 해소해왔으면서도 케이블TV가 광고시장을 잠식한다는 이유로 근거없는 비난을 한다”라며 “광고로 운영되는 상업방송이나 다름없으면서 공영방송을 가장하고 유료방송을 비난할 때엔 기가 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실상 유료와 무료 방송의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정책 당국은 여전히 ‘무료방송=공익’이라는 잣대로 유료방송에만 불리한 정책을 편다는 게 유료방송계의 시각이다.
날로 거세어질 미디어 경쟁과 방송시장 개방에서 우리 방송산업이 제대로 발전하기 위해선 정책 당국이 종전과 전혀 다른 시각과 틀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날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SO 서비스 매출 구성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