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칼럼]남북 IT 교류의 새 전기를 마련하자

 무자년(戊子年) 새해가 밝았다. 올해는 남북이 각기 정부를 수립한 지 회갑이 되는 해로 그 의미가 깊다. 국내외적으로도 여러 변화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지난 12월 19일에 치른 대선 결과로 10년 동안 기다렸던 한나라당이 집권하게 됨으로써 민생문제에서 정부조직에 이르기까지 적지 않은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또 금년 11월 4일에 있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국제정세도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꾸준히 지켜져야 할 것이 있다. 다름아닌 남북 IT 교류와 협력이다. 북한은 그동안 IT로 경제회생을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1985년 평양과 함흥에 전자계산기 단과대학(현재 컴퓨터 기술대학으로 확대 개편)을 설립하고 그 후 김일성종합대학과 김책공대에 컴퓨터과학과 기술관련 대학을 두었으며 정보센터 등 연구소를 마련했다. 또 2001년부터는 금성 제1 고등중학교 등 4곳을 선정해 컴퓨터 영재교육을 시켜 수천명의 우수한 컴퓨터 영재를 양성했다. 그러나 이들이 취업할 마땅한 직장이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평양과기대가 개교하고 학부과정을 개설하면 이들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지만 근본 해결책은 되기 어렵다.

 북한도 지금은 많이 변하고 있는 듯하다. 새해를 맞이해 평양에 거주하는 한 외국인에게 받은 전자우편을 보면 남한 대선개표상황을 TV에서 보았다며 내가 승자 팀의 일원이 된 것을 축하하며 앞으로 새 정부가 북한과 화해와 협력을 지속해 주기 바란다고 했다.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도 이러한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발표에 의하면 북한이 현재 진행하고 있는 핵 포기를 전제로 북한의 1인당 소득이 10년 안에 3000달러가 되도록 적극 지원하기 위해 400억달러 규모의 국제협력 기금을 조성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 이명박 당선자는 작년 11월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대통령 후보자 초청 IT 간담회에서 ‘디지털 강국 코리아를 위한 IT 7대 전략과 서민고충을 더는 IT 3대 프로젝트’를 발표하며 7대 전략의 하나로 ‘IT로 하나 되는 한반도 형성’을 제시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남북 한민족 사이버 공동체 구축을 위해 중·장기 및 단기 인터넷 교류 협력 프로젝트를 수립하고 남북 협의 기구를 설치하며 둘째, 남북 IT 교류 활성화를 위해 정보실크로드와 사이버 박물관·사이버 도서관·사이버 이산가족 만남의 광장 등을 구축하며 셋째, 정보공동체와 경제공동체 연계를 위해 남북 IT 비즈니스 활성화 및 남북 청년들이 함께 제3국에서 IT 봉사단으로 활동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북한은 정초에 발표한 신년 공동사설에서 IT와 관련 있는 과학기술이나 경제건설을 강조하고 있다. 공화국 창설 60주년을 맞아 2012년을 ‘강성대국의 대문을 여는 해’로 규정하고 중기국가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과학기술과 대남·대외 관계 개선에 기반한 경제건설을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이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남한뿐 아니라 국제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이러한 면은 공동사설에 ‘우호적으로 대하는 모든 나라와의 친선협조관계의 유지·강화 발전’을 강조한 것을 보아 북한도 이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새로운 해, 새로운 정권, 실천을 중요시하는 새 대통령을 맞이한 남한이 앞으로 북한과 원만한 협조를 할 수 있도록 남북이 모두 신뢰에 바탕을 두고 최선을 다해 남북 IT 교류·협력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박찬모/전 포스텍 총장 parkcm@postech.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