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나라 교육 환경을 보면 어디서부터 그 해결의 실마리를 풀어야 할지 막막하다는 느낌이다. 국민에게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고 고통받는 국민의 삶에 내적 힘을 부여해야 하는데 교육 여건은 그렇지 못하다. 교육은 많은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 교육 현실은 그와 거리가 멀다. 고비용이 판을 치고 이념의 정체성이 흔들리는가 하면 단순히 개인의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 버렸다. 교육 주체인 국민의 요구를 외면한 지 오래다.
우리나라 빈곤층 현황을 보면 국민기초생활 수급자가 130만명, 최저 생계비 120%에 해당되는 차상위 계층을 포함하면 49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0%에 육박한다. 이 같은 빈곤층의 규모는 선진국의 4∼10% 대비 높은 편에 속한다. 문제는 이와 같은 빈곤층의 삶이 대물림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빈곤한 사람은 열악한 재정 환경으로 학업 기회를 상실, 저학력으로 이어지고 이는 사회에 진출하는 데 큰 장벽으로 나타난다. 이는 다시 저소득의 결과를 초래해 고비용으로 인한 교육 기회를 상실하는 결과를 낳는다. 교육 당국자는 부정하겠지만 현실이다.
저소득층이 빈곤에서 탈피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교육이다. 사이버대학은 우리나라의 고비용 교육 시스템에서 저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평생교육 기관이다. 이 같은 사이버대학은 시·공간 제약 없이 편리한 교육 환경으로 모든 국민에게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국민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한 빈곤 탈피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되는 사이버대학은 총 17개로 재학생 수도 7만명에 이른다. 학생 중 상당수가 사회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일반 대학을 들어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입학을 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고정관념이다. 이런 와중에 교육인적자원부가 사이버 교육과정을 오프라인 대학에 허용한다고 한다. 자칫 사이버 대학 본연의 설립 취지와 이념이 흔들리지 않을까 우려된다.
가까운 미래인 2010년께 우리나라는 첨단정보기술 발달로 일상생활에서는 유비쿼터스, 자동화, 로봇 실생활 활용, 음성인식 발달 등이 예상된다. 학교 교육은 디지털화를 통한 통합교과, 통합학점, 통합대학 체제가 갖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대학 체계는 온오프라인 양대 대학 체계에서 온라인·오프라인·혼합대학 체계로 변모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학의 통폐합도 백년을 내다보고 진행해야 한다. 즉 우리나라 대학교육을 온라인·오프라인 양대 대학 체계에서 온라인·오프라인·혼합대학 체계를 허용하고 온오프라인 대학 통합에 따른 재정지원도 이뤄져야 한다. 정원을 양 대학의 통합 정원으로 인정해 주는 등 인센티브 정책을 제시해 대학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사이버대학과 오프라인 대학 간 갈등을 함께 해결하는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
사이버대학은 그동안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해 완전한 평생교육 기관으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설립 초기 사이버대학 이념에 근거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그리고 정치적 중립성을 토대로 최소한 국가 감독기능을 둬야 한다. 국민에게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직업교육·재교육·향상교육 등 다양한 교육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 교육 주체별 특성에 맞는 교육정책 수립과 집행이 이루어져 국민에게 희망과 비전을 제시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경훈 한성디지털대학 홍보처장 cho711@hsd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