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정보화 예산이 지난 2004년 이후 매년 감소하고 있다고 한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최근 공개한 기금운용계획에 따르면 올해 초·중등 교육정보화 관련 예산은 325억7700만원으로 지난해의 339억9000만원보다 3.9% 줄었다. 가장 많았던 2004년의 710억원을 정점으로 최근 4년간 적게는 3%에서 최고 31%까지 줄었다고 한다.
교육정보화 예산이 줄고 있는 것과 달리 정부 예산은 최근 몇 년간 증가세여서 행여 정부가 교육정보화를 너무 소홀히 여기고 있는 건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든다. 교육정보화가 중요한 것은 이제 국가의 경쟁력도 개인의 경쟁력도 컴퓨터와 네트워크로 대변되는 정보화를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이 어릴 적부터 정보화 교육을 강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도 ‘컴퓨터 교육’을 초등학교 정식과목에 채택해 매주 한 시간 이상 가르치는 등 교육정보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러나 교육정보화가 제대로 정착,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이 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실제로 컴퓨터 공교육이 확산되고 있지만 아직 전문교사가 많이 부족하다. 인터넷과 정보 혁명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지만 학교마다 정보화를 전담할 수 있는 교사는 한두 명에 불과하다. 이런 현실에서는 교육정보화를 통한 국가경쟁력 향상은 요원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 우수한 정보화 교사를 계속 배출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화 교육에 관련된 콘텐츠와 교육 커리큘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에서 배운 ‘워드프로세서’나 ‘엑셀’을 중학교에서 다시 배우는 등 학년별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에 큰 차이가 없고 구별이 제대로 안 돼 있다고 지적하는 사람이 많다. 비록 교육부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간 주요 교육 프로그램을 정하고, 이를 5단계로 나눠 실행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각급 학교에서 제대로 적용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아직 우리의 교육정보화는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확보가 선행돼야 한다. ‘네트워크 및 설비 등 하드웨어 구축이 어느 정도 이뤄져 예산 감축이 불가피하다’는 당국의 생각이 전적으로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정보화교육은 하드웨어 구축은 기본이고 더욱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콘텐츠다. 신기술에 맞춰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를 적절한 시기에 업그레이드해줘야 한다.
21세기에 맞는 우수한 정보화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예산을 바탕으로 우수한 교사 확보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이 적절히 이뤄져야 한다. 예산 감소보다 당국은 어떻게 하면 보다 나은 정보화 교육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지를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