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6일 이동통신 보조금 규제 일몰이 당장 보조금 경쟁을 촉발시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신 사업자들은 상황에 따라 의무약정제 도입, 차별화된 서비스 등으로 시장 경쟁에 나설 방침이다.
20일 SK텔레콤·KTF·LG텔레콤 등 이통사업자는 보조금 규제가 사라지더라도 보조금 지급 규모, 지급 대상 등에 대한 전략 변화보다는 ‘철새’ 고객을 막기 위한 의무약정제와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춰 마케팅에 나설 예정이다.
황현식 LGT 영업전략실 상무는 “보조금 경쟁은 궁극적으로는 회사의 마케팅비용을 상승시켜 소비자 후생을 증진시키는 데 장애요인이 된다”면서 보조금 규모를 조정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보조금 제한이 풀리더라도 사업자들이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자원(마케팅 비용)은 한정돼 있기 때문에 보조금 경쟁이 본격화되리라고 예상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또 이미 올 1분기에 규제기관 부재 등으로 인해 보조금 지급 규모가 도를 넘어섰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KTF는 전체 보조금 규모는 예년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의무약정제를 가미한 요금상품을 출시할 방침이다. KTF관계자는 “의무약정제로 인한 폐해를 막을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겠다”면서 “이통사를 오가는 고객이 아니라 진성 고객 중심으로 마케팅 비용을 효과적으로 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LGT는 의무약정제는 분실 파손 시 소비자 피해, 사업자 간 출혈 경쟁을 이끌 수 있는만큼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대신 가입자를 붙잡아둘 수 있는 카드로는 차별화된 데이터서비스를 들고 있다. 보조금 경쟁이 아니라 경쟁력 있는 데이터 요금제 출시를 통해 소비자 후생을 극대화한다는 것.
이에 대해 SKT는 여유로운 모습이다. 보조금 규제 일몰 이후 시장동향을 좀 더 지켜본 후 가입자 이동 현상이 가시화되면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통사업자들은 이미 과거에 보조금 경쟁으로 인한 폐해를 겪은 바 있고 방통위 출범에 따른 정책 방향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어서 쉽게 보조금 경쟁에 나설 수 없을 것”이라면서 “하반기 가입자식별모듈(USIM) 잠금 해제, 가상이통망사업자(MVNO) 본격 허용 등의 변수가 이통사 전략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지혜기자@전자신문, go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