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의 과도한 마케팅 경쟁을 자제하고 깨끗한 시장경쟁 체제를 만들어 가겠다”
지난해 말 부터 김신배 SK텔레콤 사장, 조영주 KTF 사장, 그리고 정일재 LG텔레콤 사장이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이 이구동성으로 외쳐온 말이다. 하지만 최근의 보조금 과열 마케팅은 ‘선의의 경쟁’에 대한 이통3사 대표의 말을 허언으로 만들고 있다.
지금의 휴대폰 보조금 시장은 말이 좋아 시장 자율이지 실상은 무법천지와 다름없다. 26일을 마지막으로 한시적으로 적용됐던 보조금 규제가 그 수명을 다하며 27일부터 새로운 보조금 지급 기준이 적용돼야 하지만 그 어떠한 이통사도 이 같은 기준을 내놓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통사들은 “기존의 보조금 테이블을 기초로 보조금이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하고 있지만 사실상 지금 보조금 지급 기준은 “대리점 마음대로”다. 보조금 규제 퍠지 이후 약관 공백상태로 인해 보조금 마케팅이 정점에 달하고 있는 것. 이에 소비자들은 “도대체 내 휴대폰 보조금이 어떻게 되는 것인지?”에 대해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보조금 지급 기준이 늦어지는 것에 대해 이통사들은 주관부서인 방송통신위원회의 체계 미비를 이유로 들고 있다. 하지만 지금 이통사들의 모습은 보조금 테이블을 둘러싸고 서로간의 눈치싸움에 피가 마르고 있는 형국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 3G에서 KTF에게 호되게 당한 SK텔레콤이나, 최근 SK텔레콤의 추격에 긴장하고 있는 KTF, 그리고 800만 고지를 앞에 두고 3G 서비스를 준비 중인 LG텔레콤 모두 보조금으로 인해 가입자를 뺏기는 일은 최대한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보조금과 관련해 의무약정제가 논의되는 지금, 섣불리 보조금을 운용했다가 점유율이 떨어지게 되면 다시 만회하기 힘든 만큼 그 어느 때 보다 신중을 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보조금을 한없이 운용할 수도 없는 일이다. 지난해에도 과도한 마케팅 비용을 쏟아 부은 상황에서 또 다시 실속 없는 보조금 경쟁을 펼치는 것은 주주들의 불만은 둘째 치더라도 이통사 입장에서 부담되기 때문이다.
결국 이통사들은 마케팅 비용과 점유율 저울질에 휴대폰 보조금 지급 기준은 계속 늦어지고 있는 셈이다. 또 한편으로 이통사들은 지금 “경쟁사가 먼저 보조금 정책을 밝혀주었으면”하는 눈치 싸움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이통사들이 보조금 지금 기준 발표를 계속 늦추는 동안 시장은 점점 더 혼란에 빠지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국내 이통사 중에서는 경쟁사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소신 있게 요금 및 보조금 정책을 가져갈 수 있는 곳은 아마도 없는 듯 하다.
전자신문인터넷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