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기술 적용 제품의 유해성 논란이 국내외에서 가열됐다. 나노기술을 향한 막연한 공포감이나 두려움 등 심리적 공황을 넘어 미국·유럽 등 일부국가가 관련 제품의 사용을 규제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관계 기관에 따르면 최근 일본 국립의약식품위생연구소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투여한 쥐에서 종피종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종피종은 석면 등의 발암물질 흡입 시 복강 내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다. CNT는 LCD, 백라이트유닛, HDD, 2차전지 등 각종 전자제품에 응용이 기대되는 ‘꿈의 신소재’다.
CNT가 사실상 석면과 같은 발암물질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본은 물론이고 국내 관련 연구소와 업체의 일부 개발자들 사이에서 CNT 취급작업 자체를 꺼리는 현상이 일고 있다.
간노 준 도쿄 건강안전연구센터 독성부장은 “석면도 처음에는 그 유해성이 알려지지 않아 피해자가 늘어난 바 있다”며 “CNT 역시 대량생산 전 단계인 지금부터 예방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도 항균 목적으로 은나노 기술을 쓴 생활용품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미 환경부(EPA)는 삼성전자의 ‘하우젠 은나노 세탁기’ 등 나노기술을 적용한 세탁기와 식품보관용기, 공기청정기 등을 수입규제 대상품목으로 지정했다. 이들 제품을 미국에 판매하려면 생산자는 은나노 입자가 인체나 생태계에 무해하다는 사실을 먼저 입증해야 한다.
정진호 서울대 약학과 교수는 “10년 내 나노소재의 인체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애써 개발한 나소 신기술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국산 은나노 세탁기 사례에서 보듯 국가간 나노물질 이전이 인체 유해성 문제와 결부될 때 이는 보이지 않는 무역장벽으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내 나노기술의 안전성 연구 수준은 걸음마 단계다.
실제로 나노제품의 안전성 검사를 위한 정부 정책은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각각 한 해 10억원씩 투입해 추진 중인 ‘ECO 21 사업’과 ‘나노기술 독성사업’이 거의 전부다. 나노기술 연구개발에 매년 3000억원가량이 지원되는 것에 비하면 미미하다.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은 나노재료의 안전취급 지침 개발에 작년에만 460만달러를 쓰는 등 지난 2005년부터 매년 300만달러 이상을 투입한다.
유일재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안전성평가본부장은 “나노 독성평가 기술을 외국에 의존하면 시험료만 연간 1000억원이 유출된다”며 “무엇보다 독성평가 기술의 개발은 나노제품 수입을 막으려는 선진국의 무역장벽에 대한 효과적 타개책”이라고 강조했다.
류경동기자 ninano@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나노화에 따른 독성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