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미디어포럼]u시티 사업, 캐즘(chasm)을 넘어라

[u미디어포럼]u시티 사업, 캐즘(chasm)을 넘어라

 u시티는 주거·경제·시설·교통 등 도시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IT 인프라·기술 및 서비스를 융합한 미래형 첨단도시를 말한다. 전자태그(RFID),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지리정보시스템(GIS),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ITS), 텔레매틱스, 광대역통신망BcN), 와이브로 등 IT 인프라와 기술, 서비스가 유비쿼터스 기반의 새로운 도시를 탄생시키는 중요한 기본 요소 역할을 할 것이다.

 지난해 정보통신부가 u시티 국내 현황과 수요를 조사한 결과, 41개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73%가 u시티 사업을 계획 중이라고 답해 u시티가 지방자치단체의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대도시 중심의 인구 및 경제활동 집중에 따른 교통·환경·의료·안전 등 도시의 역기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비쿼터스 IT를 이용한 u시티 구축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폭넓게 형성되고 있다.

 IDC는 올해 공공 IT서비스 시장의 주요 이슈로 전자정부, 전자여권, 정보통합전산센터 안정화 같은 대규모 사업의 진행과 더불어 u시티 관련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시티 관련 시장 규모는 지난해 2270억원에서 올해 3580억원으로 약 57% 이상의 성장을 예측하고 있다.

 2007년 정부는 지하 매설물, 도로, 교통, 환경 등 기본적인 도시관리 분야에서 6개의 u시티 서비스 과제를 선정해 u시티 테스트베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아직까지는 u시티 서비스 발굴과 유비쿼터스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IT기업 중심의 사업만을 진행한 상태로 본격적인 사업 활성화는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 최근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정보기술 관점에서 접근하는 u시티가 아니라 도시 발전과 주거문화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도시건설의 새로운 모델로 접근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건설 분야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됐으며 지난해 11월 한국토지공사 주관으로 유비쿼터스 도시건설포럼을 창립했다. 이는 건설부문이 주축이 돼 정보통신부문과 협력을 통한 u시티 사업의 틀을 만들기 위한 움직임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다.

 올해 3월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이 공포됨에 따라 u시티 개발을 위한 법률처리에 속도가 붙게 됐다. 유비쿼터스 도시의 건설 등에 관한 법률은 국무총리실 산하에 유비쿼터스도시위원회를 비상설기구로 운영해 관계부처가 제각기 추진해오던 u시티 관련 사업을 중앙행정기관장과 지방자치단체장 간 의견 조율을 거쳐 u시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사항을 결정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성공적 u시티 사업을 위해 기업과 지자체 모두가 극복해야 할 사항으로는 예산 부족, 법제도 미흡, IT인프라 및 서비스 모델 사례 부족 등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이 중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부분이 소비자가 원하는 실용적인 서비스 모델 개발이다. 일반적으로 첨단 제품은 기술을 중시하는 소비자에서 실용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로 확산될 때 기업은 비로소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시장이 형성될 수 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첨단 제품 모두 다수의 소비자를 얻기까지 많은 캐즘(Chasm)이라는 협곡을 넘어가는 과정을 거쳤다. u시티 사업도 같은 이론이 적용될 것이다. 현재 시범사업에서 진행하고 있는 u서비스 모델이 기술 수용주의를 추구하는 혁신, 선각 소비자가 아닌, 실용주의를 추구하는 전기, 후기 다수 소비자까지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캐즘이라는 협곡이 존재하며 이러한 캐즘을 넘기 위해서 우리는 소비자 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측면에서 u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있는지를 생각해야 할 것이다.

김승기 쌍용정보통신 상무(개발본부장)kimseunggi@sic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