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진, 인터넷 재갈 풀었다

  중국지진 피해 발생지역에 중국내 각 통신업체들의 긴급전화가 설치, 긴급전화나 구조작업을 펼치는 군인관 공무원들의 통신 업무를 돕고 있다. 베이촨(北川)현에 설치된 차이나유니콤(聯通)의 긴급전화를 구조작업에 나선 군인이 이용하고 있다.
 중국지진 피해 발생지역에 중국내 각 통신업체들의 긴급전화가 설치, 긴급전화나 구조작업을 펼치는 군인관 공무원들의 통신 업무를 돕고 있다. 베이촨(北川)현에 설치된 차이나유니콤(聯通)의 긴급전화를 구조작업에 나선 군인이 이용하고 있다.

 엄청난 자연재앙 앞에서는 인위적인 통제도 무용지물이었던 것일까.

 쓰촨성 대지진 이후 중국 정부의 강도높던 인터넷 검열이 눈에 띄게 줄었다고 AP가 19일 보도했다.

 현지 최대 포털 시나닷컴이나 판포우(FanFou), 트위터 같은 마이크로블로그, 메신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진 재난 참상을 알리고 구원을 요청하는 메시지들이 봇물을 이루자 정부 당국은 생생한 현장 분위기를 타 지역이나 해외에 알리기 위해 이례적으로 네티즌들의 글을 여과없이 인터넷에 띄우도록 허용하고 있다. 티베트 유혈 사태 때 사상자 규모를 축소·은폐하려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사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원촨현 인근의 청두와 두장옌 등에 거주하는 현지인 및 외국인 유학생들은 지진 발생 불과 몇시간 후부터 블로그에 피해 현황을 신속히 알리며 민간인 특파원 노릇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심지어 지방정부도 가세했다. 진앙지가 속한 아바자치주 정부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피해 지역에서 위성전화로 보고된 사상자 정보를 유가족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섰다.

 또 지진발생 후 며칠동안 전화와 인터넷이 두절됐던 피해지역에서는 일부 이동통신서비스가 재개되면서 외부와의 연락이 차츰 원활해지고 있다. 원촨현, 멘주, 스팡, 두장옌 등 피해가 가장 큰 8개 지역에는 지난주 금요일까지 총 1만6500개의 이동통신기지국 중 6500개가 정상 가동 중이며 나머지 기지국들도 주말을 지나면서 빠르게 복구되고 있다.

 시아오 챙 버클리대 교수는 “완전히 투명하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거의 검열이 없는 인터넷 자유가 보장되고 있다”며 “인터넷 사회에서는 늑장대처나 사실은폐가 잘못된 방법이라는 교훈을 중국 정부가 깨닫게 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물론 검열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국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쓰촨성 지진 사태와 관련해 민심을 자극하는 선동적인 표현이나 루머를 퍼뜨린 것으로 지목된 17명이 정부 당국에 의해 게시물 삭제 또는 내용 정정 등의 경고 조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현지 경찰은 일부에서 지진사태 피해자를 돕기 위한 성금모금운동을 가장한 스팸메일이 발견돼 피해가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조윤아기자 fo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