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은 정보문화의 달이다. 지난 1967년 6월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컴퓨터가 도입되고, 또 이보다 20년 뒤인 1987년 6월 전국 전화자동화가 완성된 것을 기념해 6월로 제정한 이후 올해가 스물 한 번째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올해 역시 ‘u코리아로 하나 되는 창조한국’이라는 주제 하에 전국 각지에서 한 달 동안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초고속 인터넷에서 알 수 있듯 정보문화 인프라만 놓고 보면 우리는 가히 세계적 IT강국이다. 하지만 이에 걸맞은 정보문화를 갖추고 있는지는 고개를 갸우뚱하지 않을 수 없다.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성숙한 인터넷 토론 문화 대신 일부 무분별한 네티즌의 미확인 사실 무차별 유포나, 타인의 처지와 명예를 존중하지 않는 악의성 댓글이 설치기도 한다. 이래서는 온전한 정보문화 대국이라 할 수 없다. 우리가 아무리 IT 인프라가 뛰어나다 해도 이 시대를 사는 국민의 정보문화 인식이 디지털 시대에 맞지 않은 일방적이고 비논리적이라면 디지털 선진국을 이룰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매년 돌아오는 행사지만 올해는 새삼 정보문화의 중요성이 크게 다가온다. 특히 올해는 정보화시대에 걸맞은 정신을 담은 정보문화헌장과 이의 행동 지표가 될 6개 실천지침도 마련했다니 더욱 의미가 있다. 정보문화헌장 확산을 위해 행정안전부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협조해 초·중·고의 도덕 또는 컴퓨터 교재에 이 헌장을 수록할 예정이라고 한다. 인터넷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이때 비록 선언적 의미에 그치지만 정보화 역기능을 막는 데 다소나마 힘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잘 추진됐으면 한다. 이번 행사가 성공적으로 끝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온 국민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단순히 중앙정부의 기념식과 일부 대도시에서 벌어지는 몇몇 눈요깃감의 행사로만 끝나서는 안 된다. 마침 정부도 올해 행사를 중앙정부 중심에서 탈피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단체 그리고 일반 국민이 함께하는 전국적 행사로 기획하고 있다니 다행스럽다. 우리는 여전히 지역 간, 세대 간, 계층 간 정보격차가 존재한다. 민간 부문 정보화에서 정부가 아직 할 일이 많은 것이다. 오지와 장애인 정보격차 해소는 물론이고 특히나 국제결혼 증가로 동남아 등 외국에서 건너온 여성들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사실 건전한 정보문화 정착은 정부의 법·제도만으로는 어렵다. 국민 모두가 인터넷 중독, 크래킹 같은 정보화 역기능을 막는 데 노력하고 실천해야 한다. 어쩌면 문화라는 측면에서 정보문화 강국은 IT강국보다 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선진 정보문화를 갖춰야 진정한 디지털 강국과 문화 강국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