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과학비즈니스벨트의 중요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을 위해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국토해양부 등이 참여하는 관계부처 협의가 발족됐다고 한다. 최근 청와대 내에서 이 사업의 추진주체로 균형발전위원회를 선정한 데 이어 실무를 담당할 관계부처 협의체까지 구성됐다니 그동안 사업 축소 여부를 놓고 논란이 많았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이 다시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은 이명박 대통령의 과학기술 핵심 정책 가운데 하나로 우리의 과기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과학기술계를 비롯해 국민 모두가 큰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지 100일이나 지났는데도 추진주체가 정해지지 않는 등 그동안 겉돌았던 게 사실이다. 실제 청와대는 이 사업의 추진주체를 놓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와 국토균형발전위원회 사이에서 오랫동안 결정하지 못하고 시간을 끌다 최근에야 균형발전위원회로 결정한 상황이다. 청와대가 이러다 보니 실제 정책을 집행할 각 부처 역시 담당부서를 두지 못했다. 더욱 튼실한 과학강국을 만들겠다는 이 계획은 지난해 11월 당시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가 대덕특구와 행정도시, 충북 오송·오창을 하나의 광역 경제권으로 묶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건설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함으로써 알려지게 됐다. 세계 IT 및 과학기술의 명가인 실리콘밸리를 한국에도 조성해보겠다는 것이다. 이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국가경쟁력특별위원회 내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태스크포스가 구성·운영되면서 국정 핵심과제로 본격 등장해 주목을 받았다. 대학과 연구소·기업·기관 등이 정보와 지식을 공유해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성공하게 되면 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을 것이다. 사업 규모도 최소 수조원이 들어갈 만큼 크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의 충분한 토론과 국민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관계부처가 모인 회의가 두 차례 열렸고, 이 회의에서 세부적인 종합계획을 올해 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고 하니 그동안의 오리무중에서 다소나마 벗어난 느낌이다. 이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적 역량이 총동원돼야 하는데 무엇보다 기업과 연구소를 끌어들일 인프라를 제대로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을 비롯해 주거·의료·교육·환경 등 모든 면에서 세계적 수준의 시설을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글로벌 기업과 연구소는 물론이고 고급 인재도 불러들일 수 있다. 사실 몇 년 전 큰 주목을 받았던 기업도시가 제대로 제대로 뿌리 내리지 못한 것도 이 같은 요소를 무시했기 때문이다. 철저한 타당성 검토 등 더욱 정교한 정책으로 정부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성공적으로 완성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