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이동통신 가입자 중 의무약정제 선택 비율이 80%를 육박하면서 이통업계에서 의무약정제 다양화에 나서고 있다. 의무약정제는 해당 기간만큼 가입자를 묶어두는 효과가 확실하기 때문에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이통 의무약정제가 단기적으로 시장 과열 상태를 만들고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T, 의무약정 기간 다양화=SK텔레콤은 6월 들어 18개월·24개월 의무약정제를 새로 도입했다. 지난 3월 SKT는 방송통신위원회에 최장 24개월까지 의무약정 기간을 정할 수 있도록 약관을 신고했지만 가입자 부담 등을 이유로 12개월까지만 운영해왔다.
SKT는 18개월 의무약정에 최대 15만원, 24개월에 최대 17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SKT 관계자는 “할부지원 프로그램의 24개월 사용 기준 보조금에 대한 고객 반응이 나쁘지 않아 24개월 약정 고객 수요도 있을 것”으로 분석하며 “경쟁사에 대응하는 측면에서도 24개월 약정 도입은 당연하다”고 말했다.
12개월 단일 의무약정제를 운영하고 있는 LG텔레콤에서도 의무약정 시장상황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대응할 방침을 밝혔다. 보조금 규모가 큰 24개월 의무약정으로 가입자가 몰리게 되면 이에 대처하기 위한 조치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은 의무약정 가입자가 사업자별로 40∼80%에 이르는 등 반응이 좋은데다가 확실하게 가입자를 붙잡아둘 수 있기 때문이다.
◇당분간 시장과열 이어질 것=의무약정제가 시작된 4월 이후 이통시장은 다소 과열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지난 5월 이통 3사의 번호이동 가입자는 총103만5913명으로 전월에 비해 25.2% 늘어났다. 번호이동이 증가하며 해지율 역시 전년 동기 대비 0.4% 늘어난 3.9%를 기록했다.
앞서 지난 4월에도 해지율이 최대 4.5%(KTF)까지 나타나기도 했다. 이는 각 사업자들이 의무약정제 등을 통해 대규모 자금을 쏟아부은 결과로 풀이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의무약정제가 번호이동을 막는 작용을 하면서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시훈 현대증권 애널리스트는 “보조금 자율화 및 의무약정제 도입 등 마케팅환경 변화로 가입자 순증 규모는 전반적으로 축소됐지만 번호이동 증가로 해지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도입 초기라서 경쟁이 심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시장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황지혜기자 gotit@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이통업계 의무약정제 보조금 현황(신규가입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