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식산업인프라로 각광받고 있는 e러닝 산업 활성화를 위해 올해 1534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국내에 선보인 지 10여년이 지난 지금 e러닝은 단순히 산업이 아니라 국가 인적자원 개발 위한 교육 인프라로 부상했다. 실제 오프라인 대학을 온라인에 옮겨놓은 사이버대학은 대표적 e러닝 기관으로 자 리잡으며 국민의 지력 향상에 큰 공헌을 하고 있다.
사이버 대학 같은 고등 교육뿐 아니라 최근에는 음악·미술·댄스 등 실생활과 밀접한 부분까지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닝은 바쁜 현대인들을 위한 자기계발의 장 역할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이런 추세를 반영해 관련 시장 규모도 계속 커지고 있다.
한국전자거래진흥원 조사에 따르면 국내 e러닝 시장 규모는 이미 몇 년 전 1조원대를 넘었으며 오는 2010년에는 4조원대를 형성할 전망이다. 정부·공공기관·정규 교육기관을 제외하고 가장 덩치가 큰 사업체의 e러닝 지출액도 매년 40% 이상씩 증가해 지난 2004년 처음으로 5000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7600억원에 육박했다. 하지만 이러한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러닝 산업은 표준화·인증체계 구축·신기술 접목 같은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를 알기에 정부가 이번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을 것이다. 무엇보다 이번 방안 중 기대되는 것이 해외진출이다. u시티, 전자정부 등과 더불어 e러닝도 좋은 수출 아이템이다.
민·관이 머리를 맞대고 어떤 전략을 도출해내는지에 따라 수출 효자산업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정부가 올해 우수 e러닝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과 미래형 e러닝 기술 개발 사업에 적극 나선다고 하니 기대가 된다. 또 관련 기업과 수출지원 기관 등이 참여하는 ‘이러닝 해외진출협의회’도 구성해 러시아와 중국 말레이시아 같은 나라의 시장 정보와 진출 전략을 해당 기업에 제공한다니 e러닝 수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표준화와 인증체계 구축에 20억원을 배정한 것도 눈에 띈다. 우리는 세계가 알아주는 우수한 네트워크 인프라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준 부문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면 세계적으로 우리 위상을 손쉽게 높일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얼마 전 제주에서 열린 e러닝 국제회의를 통해 우리가 만든 기술을 세계 표준으로 제시한 것과 같은 노력이 보다 요구된다.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적게 드는 e러닝은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아 더욱 각광받을 것이다. 하지만 기술 진화와 더불어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는 것이 사용자 중심의 우수한 서비스 모델 발굴이다. 아울러 정부는 e러닝이 학습 차원에서 발전해 지식 서비스 일종으로 국가 경쟁력에 기여하도록 정책을 펼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