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위피(WIPI) 의무화 정책 해제하나

한국형 무선인터넷 플랫폼 `위피(WIPI)`를 휴대전화에 의무적으로 탑재하도록 한 정부 정책이 해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위피는 휴대전화 사용자들이 가입한 이동통신사와 관계없이 모든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종의 소프트웨어(미들웨어)이다.

위피 등장 이전에는 SK텔레콤, KTF, LG텔레콤 가입자는 각 이통사별 미들웨어가 저마다 장착된 휴대전화를 이용했기 때문에 가입사의 무선콘텐츠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7일 방송통신위에 따르면 옛 정보통신부는 전기통신설비 상호접속기준 개정을 통해 2005년 4월 이후 국내에서 출시되는 모든 단말기에 위피를 탑재토록 의무화, 현재 4천만대가 넘는 단말기에 위피가 설치됐지만 통신기술의 발달과 단말기의 고급화에 따라 위피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기로 했다.

방통위 신용섭 통신정책국장은 "지식경제부와 협의를 거쳐 상호접속 차원에서 위피 정책을 방통위가 맡기로 했다"며 "위피 탑재 의무화를 비롯 위피 관련 정책을 전반적으로 재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신 국장은 또 "아직 방통위 사무국 차원에서 어떤 내용을 구체적으로 결정한 것은 없다"며 "충분한 검토와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안을 마련한 뒤 이를 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스마트폰같은 휴대전화로 오피스나 PC용 애플리케이션까지 구동하는 상황에서 2세대(G) 이동통신 시절 소규모 무선콘텐츠 구동을 위해 설계된 위피의 입지가 매우 좁어진 것은 현실이다.

더구나 세계 최대 휴대전화 제조업체인 노키아는 물론 검색의 최강자인 구글, i-폰으로 선풍적 인기를 얻고 있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적인 업체들이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 개발에 나선 데다 리눅스 진영의 립스(LiPs)와 리모(LIMO)도 경쟁을 위해 통합하기로 한 상태이다.

이들 각 오픈 플랫폼 진영은 삼성전자, LG전자는 물론 세계 유수의 제조사와 이동통신사, 모바일 솔루션 업체를 끌어모으며 세를 과시하고 있어 내수전용 플랫폼이자 전통적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하는 위피는 상대적으로 크게 위축돼 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삼성과 LG를 포함한 제조사들은 물론 주요 이통사, 독립소프트웨어개발업체, 콘텐츠 공급사들이 생존을 위해 개방형 OS(운영시스템)진영과 합종연횡에 나서는 상황을 고려해 위피 탑재 의무화 정책을 해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다만 위피 탑재 의무화 정책이 한국의 무선인터넷 플랫폼 기술 독립이라는 상징적 효과를 거둔데다 우리 단말산업의 외곽을 보호해주는 장벽 역할도 했다는 점을 고려해 국내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위피를 오픈소스(Open Source)화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위피도 고사양ㆍ다기능화 하고 있는 단말기에 더욱 적합하도록 미들웨어에서 벗어나 OS로 진화해야 한다"며 "동시에 라이선스 기반에서 탈피해 누구나 위피 기반에서 개발과 비즈니스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개방형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