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칼럼]남북 IT대학 교류협력

[통일칼럼]남북 IT대학 교류협력

 이명박 정부가 선택할 수 있는 남북 경제협력은 여러 가지다. 예컨대 관광지 개발을 비롯해 공단 개발, 기반산업 개발, 인력양성 지원, 식량 지원, 농수산업 지원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것은 대부분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서 이미 추진한 바 있다. 그래서 지난 정부가 소홀히 취급한, 남북IT 관련 대학 간 교류협력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북한 대학의 IT 인력 양성지원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통일비용을 경감하고, 또 최근의 남북경색을 완화하는 데 기여한다면 이는 충분히 투자가치가 있는 일이다. 북한 교육정책은 노동당 중앙위원회의 과학교육부에서 총괄해 기획통제하고 있다. 또 정무원 산하의 교육위원회는 교육정책 집행과 교육행정을 수행하고 있다. 교육위원회 산하기관으로는 고등교육부와 보통교육부가 있으며, 시도에는 인민위원회 교육처가 각급 학교를 분장해 관리하고 있다. 북한의 교육시스템은 인민학교(4년), 고등중학교(6년), 대학교(4∼7년)로 돼 있으며, 의무교육은 유치원(1년)을 포함해 고등중학교까지 11년으로 돼 있다. 북한에는 공장대학을 포함해 280여 대학에 약 30만명의 대학생이 재학하고 있으며, 종합대학교는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고려성균관대학이 있다. 일하면서 대학과정을 이수하는 공장대학·농장대학·어장대학은 야간대학이며, 이공계 단과대학으로는 평성과학원, 평양과기대 등이 있다. 즉, 대학은 전공분야별로 종합대학, 이공대학, 인문대학, 공산대학, 사범교원대학, 의학대학, 농수산대학, 공장농장어장대학, 예체능대학 등으로 구분된다. 북한의 대학은 대부분이 이공계며, 인문사회계의 대학은 매우 극소수다. 이런 점에 비추어 북한에 대한 IT인력양성지원은 이공계대학에 집중돼야 한다.

 북한의 IT 교육은 1986년께 시작됐다. 대부분의 북한대학은 전기·컴퓨터 같은 IT환경 낙후로 인해 실습보다는 이론적 교육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야 김일성 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이과대학, 평양기계대학, 평성과기원 등 북한 최고의 대학에 IT 전문학과가 신설되고 실험실습환경이 부분적으로 구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컴퓨터전문기관으로 조선컴퓨터센터(KCC)와 평양정보센터(PIC)가 있는데 이들은 북한의 IT를 선도하는 집단으로 IT 수준이나 연구환경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 대학의 IT 인력양성 지원은 크게 IT 관련 표준 공동개발사업, IT 관련교재 공동개발사업, 교수요원의 상호교환사업, IT 관련 학술대회 공동개최사업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IT 관련표준 공동개발사업으로 키보드(자판) 표준화, 컴퓨터용어 표준화 등을 부분적으로 추진한 바 있으나, 체계적으로 접근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전 분야로 확대해 추진할 필요가 있다. IT 관련 교재 공동개발사업은 기초·기본·응용·고급 과목으로 구분, 남북이 공동개발해 공급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교수요원의 상호교환사업은 매년 또는 반기별로 남북이 교수요원을 상호교환하면 될 것이다. IT 관련학술대회 공동개최사업도 남과 북이 분기별로 상호교차 개최, IT 교류를 더욱 활발히 추진해야 한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김정일 위원장을 비롯해 북한당국이 IT 분야 남북협력에 매우 호의적이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명박 정부가 납북경제협력 일환으로 남북 대학 간 IT 교류협력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선다면 한반도 긴장완화는 물론이고 민족 동질성 회복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이남용/숭실대 IT정책경영학과 교수nylee@ss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