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단상]동북아 역사의 쟁점

[ET단상]동북아 역사의 쟁점

 베이징 올림픽이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베이징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중국의 저력과 아시아 국가들의 예상치 못했던 훌륭한 성적표는 아시아의 달라진 힘을 보여주었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저서 ‘부의 미래’에서 ‘아시아의 부상’을 예언했으며, 지난해 다보스포럼에 모인 세계 각국 정상들은 아시아로의 ‘힘’의 이동을 역설했다.

 미래학자들과 세계 각국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아시아로의 ‘부’의 이동을 이야기하고 아시아의 협력을 강조하는 시기에 또다시 불거진 ‘독도’와 새롭게 부각된 ‘이어도’ 쟁점은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동안 한국을 사이에 두고 일본과 중국은 ‘독도’와 ‘동북공정’ 쟁점을 끊임없이 부각시켜왔으며,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는 ‘이어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독도의 영유권’이 부각될 때마다 한일 양국 정부가 나서서 성명을 발표하고, 우리 정부는 위기관리 사안으로 매번 골치를 썩어온 것이 사실이다.

 독도와 이어도에 대해 PR컨설팅을 한다면, 국내외를 망라한 메가톤급 이슈 관리 프로젝트일 것이다. 대규모의 예산과 인력, 고도의 전략과 고차원적인 홍보 프로그램이 수반돼야 함은 물론이고 어떤 프로젝트보다도 장기간이 소요될 것이다. 우선, 쟁점관리 홍보의 1차적인 목표는 당연히 독도와 이어도가 우리의 땅임을 알리는 것이 될 것이며, 홍보 전략을 크게 세 가지로 세워볼 수 있다.

 첫째는 일본과 중국을 각각 하나의 홍보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닌, 홍보 대상 공중을 세분화하는 것이다. 동북아 역사 쟁점에 대한 지식과 관여도 그리고 태도를 기준으로 공중을 나누어 대상별 홍보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로 독도 쟁점관리는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전략보다는 장기적인 캠페인을 펼치고 이어도 쟁점은 올바른 정보를 직접적으로 긴급하게 전달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리는 PR는 한류 열풍을 비롯, 우리나라의 문화 콘텐츠 등 다양한 PR 전략과 전술이 구체적으로 수립돼야 할 것이며, 이어도 쟁점은 독도처럼 조직화되기 전에 학술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중국 측의 논리에 맞서는 메시지 개발과 적극적인 PR활동을 펼쳐야 할 것이다.

 셋째, 웹2.0 시대를 맞아 전 세계 글로벌 네티즌을 대상으로 소프트한 감성 홍보를 펼칠 수 있다. 홍보 실행 주체는 동북아 쟁점에 우호적인 공중이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네티즌이다. 정부가 이를 지원하고 민간단체, 역사학자와 커뮤니케이션 전문가는 그 전략적 토대와 장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그 파워와 목소리가 더욱 커진 네티즌을 통해, 정보 또한 거짓 없이 전 세계에 급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거대한 쟁점관리 프로젝트는 PR 차원에서만 논의해서는 완벽할 수 없다. 역사적 쟁점은 역사차원에서 먼저 풀어야 한다. 지난날의 역사 왜곡 청산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고, 중국과 일본의 통치자는 자국민의 일체성을 높이기 위해 민감한 역사 쟁점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중지해야 한다. 탈냉전이라고 하는 불확실성이 높은 국제 환경에서 극단적인 국수주의를 이용하는 것은 세계 평화의 존립을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1차적인 홍보 목표인 독도와 이어도가 우리의 땅임을 인지시키는 목적이 달성됐다면 이 쟁점관리 프로젝트는 성공한 것일까. 이 쟁점 관리의 진정한 목적은 한·중·일, 동북아시아의 화해의 무드를 조성하고 미래 지향적인 역사를 쓰는 것이다.

 성숙 단계에 도달에 새로운 혁신이 필요한 미국과 유럽은 아시아의 협력을 진정으로 바라지 않는다. 이들 강국을 효과적으로 견제하고, 21세기 아시아의 비상과 세계 평화를 위해 아시아는 협력해야 할 명분과 실리가 있으며, 그 초석이 역사적인 화해다. 우리 땅을 수호하기 위해, 동북아의 발전과 평화를 위해서 힘들고 지난한 작업이 될지라도 역사적인 쟁점 관리를 전략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해야 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 목적과 방향을 올바로 잡는 것이다. 박은숙 더 피알컨설팅 대표 with@theprconsulti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