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F가 모회사 전무급 인사를 대표이사로 임명하고 사장직무대행 체제를 가동하는 등 이례적인 경영구도를 확정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영 구심점이 분산되면서 향후 KTF의 사업 추진에 다소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선임된 권행민 KTF 대표이사는 현재 KTF에서 사장대행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김기열 부사장에게 대표이사 공식업무를 위임하고 전결권을 넘겼다.
권 대표이사는 KT 직위(그룹전략CFT장)를 그대로 유지한 채, 선임 후 첫 근무일이었던 지난 6일에 KTF 임원진과 인사를 나눴을 뿐 계속 KT로 출근하고 있다.
이런 KT그룹의 행보에 대해 KT 주변과 업계 및 관계의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현재 KT에는 3명의 부사장이 있고, 특히 서정수 부사장의 경우 KTF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는 만큼 그보다 직급 낮은 전무가 자회사 대표이사로 가는 모양새가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관례적으로 KTF의 대표이사 사장은 KT 부사장급으로 여겨져 왔다. 또 여기에 실제적인 업무는 현재 체제대로 김기열 KTF 부사장이 사장 대행을 지속한다는 것도 상식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업계는 이를 KT그룹 내 경영 구도와 정치권 입김 등이 복잡하게 얽힌 결과로 풀이하고 있다. 연말 있을 새 노조집행부 선거도 복잡하게 전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내부 동요를 최소화하고 합병 등 여러 사안을 현 상황에서 추진할 수 있는 과도기적 체제란 분석이다.
하지만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KTF에서는 3세대(G) 가입자 확대, 해외진출 등 굵직한 이슈를 강력하게 밀어붙일 수 있는 동력을 잃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추진 주체가 애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공격적으로 진행해 왔던 3G 마케팅이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KT의 IPTV, 와이브로 역시 마찬가지다.
KT그룹 차원에서도 현 경영구도가 마무리되기 전까진 KT나 KTF 모두 정상적인 운영이 어려울 것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업계에서는 국정감사가 끝난 후 본격적으로 수사가 재개될 것이란 시각이다. 특히 납품비리 관련 수사가 통신업계 전방위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황지혜기자 gotit@